강원대학교병원 응급실 이용안내 자료입니다.
응급실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백령로 156 강원대학교병원은 본관, 암센터, 노인센터, 어린이 병원이 있습니다.
응급실은 본관 1층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오른쪽 상단에 보시면 응급의료센터와 응급의료센터 대기실이 있습니다.
본관 출입구로 들어가셔서 바로 접수하면 됩니다.
강대병원 응급실 진료 받기
진료절차
접수 : 진료신청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신분증으로 접수 가능합니다.
분류 : 환자분류소에서 중증도 분류 간호사에게 예진 및 활력징후 측정을 시행합니다.
진료 : 중증도에 따라 응급실의 구역 및 병상이 배정되며 담당의사가 진료를 시작합니다.
입원 : 입원결정이 되면 원무과에서 입원수속을 합니다.
퇴원 : 퇴원결정이 되면 원무과에서 진료비 수납을 합니다. 진료예약이 있으면 간호사에게 설명을 들으신 후 예약증을 받습니다.
소개말
응급의료센터에서는 급성질환이나 손상으로 인한 이상에 대하여 신속한 처치와 진단을 통해 생명을 구하고, 최단 시간 내에 정상 내지는 이에 가까운 상태로 회복시켜 계속되는 수술, 또는 재활의 치료효과를 높이는 응급의료를 제공합니다.
응급증상
신경학적 응급증상 : 급성의식장애, 급성신경학적 이상, 구토·의식장애 등의 증상이 있는 두부 손상
심혈관계 응급증상 :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증상, 급성호흡곤란, 심장질환으로 인한 급성 흉통, 심계항진, 박동이상 및 쇼크
중독 및 대사장애 : 심한 탈수, 약물·알콜 또는 기타 물질의 과다복용이나 중독, 급성대사장애(간부전·신부전·당뇨병 등)
외과적 응급증상 : 개복술을 요하는 급성복증(급성복막염·장폐색증·급성췌장염 등 중한 경우에 한함), 광범위한 화상(외부신체 표면적의 18% 이상), 관통상, 개방성·다발성 골절 또는 대퇴부 척추의 골절, 사지를 절단할 우려가 있는 혈관 손상, 전신마취하에 응급수술을 요하는 중상, 다발성 외상
출혈 : 계속되는 각혈, 지혈이 안되는 출혈, 급성 위장관 출혈
안과적 응급증상 : 화학물질에 의한 눈의 손상, 급성 시력 손실
알러지 : 얼굴 부종을 동반한 알러지 반응
소아과적 응급증상 : 소아경련성 장애
정신과적 응급증상 : 자신 또는 다른 사람을 해할 우려가 있는 정신장애
응급 준하는 증상
신경학적 응급증상 : 의식장애, 현훈
심혈관계 응급증상 : 호흡곤란, 과호흡
외과적 응급증상 : 화상, 급성복증을 포함한 배의 전반적인 이상증상, 골절·외상 또는 탈골, 그 밖에 응급수술을 요하는 증상, 배뇨장애
출혈 : 혈관손상
소아과적 응급증상 : 소아 경련, 38℃ 이상인 소아 고열(공휴일·야간 등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기 어려운 때에 8세 이하의 소아에게 나타나는 증상을 말한다)
산부인과적 응급증상 : 분만 또는 성폭력으로 인하여 산부인과적 검사 또는 처치가 필요한 증상
이물에 의한 응급증상 : 귀·눈·코·항문 등에 이물이 들어가 제거술이 필요한 환자
응급관리료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거, 본원 응급실에 내원하는 모든 환자에게는 접수비와 별도로 응급의료관리료가 부과됩니다.
(※ 응급의료관리료는 매년 변경됩니다.)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조 1항 별표 1 [응급증상 및 응급증상에 준하는 증상]에 해당되는 경우만 보험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강원대병원 응급의학과 소개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는 병원 창립 이듬해인 2001년 개설되었습니다. 2003년부터 전공의 수련을 시작하여 매년 우수한 응급의학 전문의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응급 진료 역시 병원 설립 초기에 비해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하여 현재 명실상부한 춘천지역의 대표 응급센터로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08년에는 지역응급의료센터로 승격되어 보다 나은 응급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는 우수한 응급의학과 의료진과 간호인력 및 최신 의료장비를 갖추고 24시간 응급진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강원도의 유일한 국립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로서의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강의와 실습, 그리고 교육과 연구 중심의 대학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하여 모든 응급센터의 응급의학과 교수, 전공의, 간호사 및 응급구조사들이 맡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상질환
소생의학 및 소생 후 치료 크리닉 : 심폐소생술, 급성심장사의 치료 및 소생 후 치료
대한심페소생협회 심폐소생술 교육기관(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ACPR) BLS Training Site)
당직전문의 진료과목
가정의학과, 내과, 마취통증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신경외과, 안과, 외과, 영상의학과,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진단검사의학과, 치과(구강외과), 피부과, 흉부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