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장애인 건강주치의 진료받기

광주광역시 장애인 건강주치의 진료받기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기관

병원명구분연락처소재지주소
신가병원종합병원062-610-8100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 316, (신가동)
우리동네의원의원062-452-7020광주광역시 광산구 무진대로211번길 28, 빛고을국민체육센터 1층 (우산동)
아나파의원의원062-959-6675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로 12, (비아동)
박가정의학과의원의원062-941-0531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665번길 4, 2층 (소촌동)
건강가정의학과의원의원062-955-9774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산정로 12, 208호 (우산동, 하남주공아파트상가)
목화산부인과의원의원062-716-8008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대로 278, (운남동)
광주365재활병원병원062-950-9500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마항로 26, (흑석동)
오재선내과의원의원062-363-2270광주광역시 남구 경열로 80, 2층 (월산동)
한중의원의원062-675-8075광주광역시 남구 금당로 27, (진월동)
휴가정의학과의원의원062-671-7582광주광역시 남구 대남대로 57-1, (방림동)
가제트병원병원062-710-9111광주광역시 남구 대남대로127번길 5, 가제트병원 (방림동)
하이소아청소년과의원의원062-672-7559광주광역시 남구 봉선2로 81, 2층 (봉선동)
아이안과의원의원062-681-7112광주광역시 남구 서문대로 704, (진월동)
다사랑의원의원062-676-7575광주광역시 남구 용대로 119, (봉선동)
다나의원의원062-654-8575광주광역시 남구 용대로 144, (방림동)
홍상훈신경과의원의원062-716-7396광주광역시 남구 용대로 208, 2층 201호 (방림동)
광주참병원병원062-519-7588광주광역시 남구 회재로 1244-0, (주월동)
허준이비인후과의원의원062-222-8222광주광역시 동구 동계천로 74, (장동)
광주대항외과의원의원062-239-9000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26번길 18, 2~4층 (서석동)
코와숲이비인후과의원의원062-232-7588광주광역시 동구 백서로 133, 금동 180-3 제2종근린생활시설 (금동)
두암연세연합의원의원062-268-7582광주광역시 북구 군왕로 82, (두암동)
조규웅내과의원의원062-523-8384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101, 3층 (운암동)
조형준재활의학과의원의원062-416-7575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101, 4층 (운암동)
리안의원의원062-714-3131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117, 3층 (운암동)
참사랑정신건강의학과의원의원062-528-5775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37, 5층 (운암동)
오치오케이정형외과의원의원265-6655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193, 1,2층 (오치동)
정인철가정의학과의원의원062-433-7582광주광역시 북구 중문로88번길 5, 1층 (우산동)
첨단가족연합의원의원062-513-8876광주광역시 북구 첨단연신로 194, 상가동 2층 203호 (신용동, 한양수자인리버뷰)
광주탑정형외과의원의원062-250-6006광주광역시 북구 필문대로 95, 1,2,3,4,6층 (풍향동)
정가는의원의원062-266-7522광주광역시 북구 호동로 65, 2층 (문흥동)
중앙의원의원062-268-8288광주광역시 북구 호동로 69, (문흥동)
송창훈내과의원의원062-376-8280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923, 2~4층 (쌍촌동)
자모의원의원062-375-5554광주광역시 서구 쌍학로 43, 2층 (쌍촌동, 쌍촌추공아파트 상가)

전국 장애인 건강주치의 병원 찾기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기관이란?

중증 장애인이 장애인 건강주치의로 등록 신청한 의사를 일반건강관리 또는 주장애관리 건강주치의로 선택하여 만성질환이나 장애 관련 건강상태 등을 지속적·포괄적으로 관리받을 수 있는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을 안내합니다.

개요

장애인 건강 주치의 교육을 이수한 의사가 일반건강관리 또는 주장애관리 건강 주치의로 등록하여, 중증장애인에게 만성질환 또는 장애 관련 건강관리를 지속적·포괄적으로 제공하고자 함

대상

「장애인건강권법」 제16조 및 동 법률 시행령 제5조에 따른 ‘중증 장애인’으로 만성질환 또는 장애에 대한 건강관리가 필요한 자

주요 서비스

포괄평가 및 계획수립
장애인의 만성질환 또는 장애 관련 건강문제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연간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종합계획서를 제공합니다.

교육·상담
장애인의 질병이나 장애로 인한 여러 문제를 이해시키고, 자기관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준화된 교육·상담 매뉴얼에 따라 건강 주치의가 1대1 대면으로 장애인과 최소 10분 이상 교육·상담을 제공합니다.

환자관리
거동불편 등 사유로 내원이 어려운 경우 건강 주치의가 주기적으로 전화로 비대면 교육·상담을 제공하며, 환자상태·약물복용여부·합병증 유무 등을 확인합니다.

방문 서비스
방문진료통원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을 대상으로 건강 주치의가 방문하여 포괄평가 및 계획, 교육·상담 및 간단한 검사·처치, 처방 등을 제공합니다.
방문간호건강 주치의가 수립한 포괄평가 및 관리계획에 따라 간호사가 방문하여 기본간호, 간단처치 등을 제공합니다.
방문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는 의료기관(보건기관 포함) 근무경력이 2년(24개월)이상인 간호사 또는 가정전문간호사로 건강 주치의가 소속된 동일 의료기관에 근무해야 합니다.

맞춤형검진바우처 제공
일반건강관리, 통합관리 주치의가 소속된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일반건강관리, 통합관리 장애인 건강주치의 사업에 참여하는 고혈압, 당뇨병 환자(장애인)에게 질환별 검사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질환별 검진바우처 검사 항목
고혈압지질검사 4종(2회), 심전도, 소디움, 포타슘, 알부민뇨, eGFR, 요일반검사(4,7,10종)
당뇨병지질검사 4종(2회), 포타슘, 알부민뇨, 당화혈색소(4회), eGFR, 요일반검사(4,7,10종)
고혈압+당뇨병지질검사 4종(2회), 심전도, 소디움, 포타슘, 알부민뇨, 당화혈색소(4회), eGFR, 요일반검사(4,7,10종)


협력기관간 진료의뢰 회송 시범사업 활용
건강주치의가 중증장애인의 건강문제(만성질환으로 인한 합병증 등)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문분야 또는 타 진료 분야에 의뢰하고 그 결과를 회신받아 관리하는 서비스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