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톺아보기

국립암센터 톺아보기편입니다.
병원을 이용하기 전 읽어보시면 유용한 자료로 병원의 발전사, 역사, 강점, 기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나 보호자 뿐만아니라 취업, 면접 대비 자료로도 필수입니다.

병원장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국립암센터 8대 원장 서홍관입니다.

국립암센터 홈페이지를 찾아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2000년에 설립하고 2001년에 개원한 국립암센터는 연구소, 부속병원, 국가암관리사업본부와 대학원대학교를 아우르는 세계적인 암전문 기관입니다.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 질병인 암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적 관리의 책임을 맡은 국가중앙기관이기도 합니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암발생이 꾸준히 증가하고, 암생존자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국립암센터의 국가암관리 책임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제 개원 20주년을 맞이하는 국립암센터는, 국가암관리 정책기관으로서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암 치료를 선도하고, 표준을 제시하며, 희귀난치암의 새로운 치료 기회를 확대해 암 환자의 희망이 되겠습니다. 암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첨단 융복합 암 연구의 선도기관이 되겠습니다. ‘K-암관리사업’과 ‘K-암연구’를 세계에 알리고, 인류의 암 극복에 이바지하겠습니다.

세계적인 수준의 국립암센터라는 비전을 달성하고, 국민을 암으로부터 보호하고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한다는 미션을 완수하기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하는 국립암센터에 국민 여러분의 큰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국립암센터 원장 서홍관

진료체계 특성

연구중심 임상진료
진료 단위별 임상연구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진료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여 임상연구비 확보를 통한 임상연구를 활성화하고 있습니다. 대다수 환자의 임상연구 참여, 임상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신 치료개념을 확립하고 임상시험 네트워크, 임상시험 관련 정보 공급, 임상연구 활성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암종별로 특성화된 센터 운영
국립암센터 부속병원은 기존 우리나라의 임상진료 체계와는 달리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생하는 위암, 간암, 폐암, 자궁암, 대장암, 유방암, 갑상선암 등 11개 질환별 진료센터와 5개 기능별 진료센터로 특화된 진료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환자 중심의 진료시스템 운영
이들 센터는 암 전문 의사 및 간호사와 의료기사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 전문인력이 하나의 팀이 되어 환자를 돌보는 구조적(structural) 센터제를 운영함으로써 해당 암종에 대해서 외과, 내과, 방사선종양학과 등 전문 진료분야 전문가들이 동시에 협의하여 통일된 치료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진료 전문성이 극대화되고, 환자의 편리함을 느끼는 등 고객 만족도가 높은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화된 종합 암예방검진 서비스 제공
부속병원 암예방검진센터는 우리나라 7대암(위암, 간암, 폐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췌장암과 난소암을 포함한 주요 암에 대하여 대장내시경과 폐전산화단층촬영 등의 최신 암검진기법을 적용한 암 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 프로그램은 암 발생 위험도를 고려한 특화된 검진과 분야별 암 전문의에 의한 상담, 그리고 이상 발견 즉시 확진 및 치료를 위해 부속병원 해당 센터와 연계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인 주요 암에 대한 표준진료 권고안 개발·보급의 중심기관
국립암센터 부속병원은 암연구와 진료를 겸할 수 있는 60명의 암전문 의료진을 배치하여 연구소와 연계하여 이미 개발된 암치료 신기술을 신속히 임상시험으로 연결시키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건복지부 ‘성인고형암치료임상연구센터’로 기능을 수행하면서 해당 분야의 국내 전문가와 긴밀히 협조하여 성인고형암에 대한 근거중심의 표준화된 진료권고안을 개발·보급하고 있습니다.

진료센터별 주요실적

센터명주요실적
희귀암센터난치암 환자 치료를 위한 항암면역치료 전략 및 병용요법개발 연구한국제약바이오협회 희귀난치암 극복을 위한 협약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골재건 영문저서발간외래환자 25,968명, 입원환자 18,070명 진료
폐암센터신기술을 이용한 혈액기반의 폐암진단 및 내성원인 추적법 개발표적항암제 복합요법, 흡연 폐암환자 생존 개선 가능성 확인EBUS-TBNA 병기에 따른 비소세포폐암의 장기 생존 분석 연구외래환자 29,337명, 입원환자 19,548명 진료
간담도췌장암센터재발성 간세포암에서 양성자치료 근치적 치료효과 세계 최초 확인췌장암 진료 가이드라인 최초제정, 췌장암 100문 100답 발간외래환자 33,239명, 입원환자 26,337명 진료
대장암센터국소 진행성 직장암에서 선행 항암화학요법 임상적 유용성 NCCN 등 치료가이드라인 변화 및 국내 직장암다학제진료권고안 반영전이성 대장암에서 ctDNA동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료전략 개발외래환자 25,244명, 입원환자 15,931명 진료
위암센터위 수술 영역 최초로 대망(omentum)을 활용한 수술법 발표조기위암환자에서 감시림프절생검을 이용한 비침습적 장기보존수술 임상연구외래환자 20,954명, 입원환자 16,730명 진료
유방암센터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기반 항암제 저항 난치성 유방암 환자의 유효약물 탐색 및 임상적용 개발유방암 대사관련 유전자 발현 특성 탐색 및 이를 이용한 치료전략개발진행성 유방암환자에 대한 광의학기반의 미세침습수술의 확대적용유방암 다학제 진료 1128건 달성: 다학제 진료를 통한 유방암 진료 질 향상외래환자 40,311명, 입원환자 13,422명 진료
자궁난소암센터BRCA1/2 변이 보유자의 모유수유와 난소암 발생위험 상관관계 분석하여 모유수유 유전성 난소암 발생위험감소 확인외래환자 40,494명, 입원환자 21,038명 진료
갑상선암센터갑상선자극호르몬 억제요법 실혈관질환 위험성 높일 수 있다는 결과발표외래환자 27,060명, 입원환자 2,344명 진료
소아청소년암센터소아청소년 희귀고형암 환자의 최적의 치료를 위한 유전제 연구 및 소아청소년 악성골종양의 새로운 면역치료법 개발 연구 등 수행소아청소년암 생존자 통합지지 시범 사업 수행소아청소년암 환자를 위해 병동, 외래 및 병원학교, 놀이실 신관 오픈외래환자 5,940명, 입원환자 6,060명 진료
비뇨기암센터전립선암 로봇수술 1000례 달성전립선암 진단을 위한 imunochromatography를 이용한 혈청내 시알산화 PSA총량 분석연구외래환자 22,588명, 입원환자 10,506명 진료
혈액암센터혈액암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 수행조혈모세포이식 누적 878례조혈모세포이식 환자를 위한 다학제 진료 114건혈액암 진료를 위한 전문 병동을 신관에 오픈외래환자 11,978명, 입원환자 17,716명 진료
암예방검진센터검진 비권고대상 암종 포함 암 조기진단과 적정검진을 위한 한국형 권고안개발연구외래환자 51,048명 진료
암통합건강관리센터암환자의 증상관리 및 암환자의 디스트레스(정신적고통) 관리와 삶의 질 향상암생존자통합지지실과 지원진료(클리닉) 통합하여 암통합건겅관리센터 신설성인 암생존자 통합지지 서비스 : 260명, 소아청소년 암생존자 심층상담 : 38명
양성자치료센터방사선치료전체과정을 구현하는 정보화시스템 개발방사선치료 모의치료기(국내최초도입기종) 신규교체 및 3차원 종양위치확인 선형가속기 설치2021년 치료건수 : 8,873건 (희귀암(안구암)2건, 소아암 39명, 저소득층 36명)
임상시험센터체외진단의료기기 임상적 성능시험기관지정(2021년3월)첨단재생 의료 실시기관지정(2021년8월)NCI 국제 임상연구 5개 과제수행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