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중구 첩약은 한약재를 사용해 치료용 한약을 말합니다. 한약도 건강보험을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모두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월경통, 안면신경마비, 뇌혈관질환 후유증에 첩약의 치료 효과가 좋은 알레르기 비염, 기능성 소화불량, 요추추간판탈출증을 대상으로 치료를 받을 약을 처방받을때 가능합니다.
건강보험은 2024년 4월부터 2단계 시범사업을 시행하였고, 시행되는 병의원에서 본인부담률에 대해 적용받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하기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병원 목록
병원명 | 구분 | 주소 |
---|---|---|
의림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33-2, (서내동) |
신흥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관덕정길 6-12, (남산동) |
양생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458, (대신동, 서남빌딩) |
이동현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140길 3, (동인동4가) |
홍제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로 45, (남산동) |
해봄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로 83, 신남빌딩 1층 (남산동) |
약전골목홍익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 10, (남성로) |
대덕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 2, (남성로) |
대근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 36-1, (남성로) |
대신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1943, 101동 상가 3층 306~308호 (대신동, 대신e편한세상) |
중인당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1965, (대신동, 중인당한의원) |
대구자생한방병원 | 한방병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33, 5층~9층 (동산동, 대구메디센터) |
경희숨편한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51, 1층 112호 (계산동2가) |
순흥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76, 6층 (남산동) |
미소로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94, 8층 (남산동) |
인애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05, 8층 (덕산동, 한국씨티은행) |
잘보는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09, 2,4층 (덕산동) |
삼덕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67, 1층 (삼덕동2가) |
본스필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91, 소석문화센터 1층 (삼덕동2가) |
태림영진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415길 34, 1,2층 (남성로) |
보강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 1, 3층 (대신동) |
신진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 53, 2층 (대신동) |
권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로 194-20, (대봉동) |
골든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12길 25, (문화동) |
리봄한방병원 대구점 | 한방병원 |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1길 15, 3층 (동성로3가) |
하늘체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6길 11, (동성로2가) |
우보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명덕로 193, 코스모스빌딩 7층 (남산동) |
동양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명덕로 61-3, (남산동) |
활생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명덕로 65, (남산동) |
소나무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12길 33, (남산동) |
강영우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약령길 38, (계산동2가) |
한방약국 청라 | 약국 | 대구광역시 중구 이천로 232-1, 1층 (봉산동) |
이홍철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종로 51-1, (종로1가) |
이지스한의원 | 한의원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356, 1층 (남산동) |
- 상기자료는 2024년 7월 1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특수운영기관현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전국 리스트 다운받기
주요 대상 질병코드
안면신경마비 | 뇌혈관질환후유증 | 월경통 |
G510 벨마비 | I69 뇌혈관질환의 후유증U234 중풍후유증 | N944 원발성 월경통N945 이차성 월경통N946 상세불명의 월경통 |
알레르기비염 | 기능성소화불량 | 요추추간판탈출증 |
J30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 | K30 기능성 소화불량 | M51 기타 추간판장애 |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 개요
구분 | 1단계 시범사업 | 2단계 시범사업 |
---|---|---|
시행 | ’20.11.20~‘24.4.28 | ’24.4.29~‘26.12.31. |
대상 질환 | 월경통, 안면신경마비, 뇌혈관질환 후유증 * 뇌혈관질환 후유증 : 65세 이상 | 1단계 + 알레르기 비염, 기능성 소화불량, 요추추간판탈출증 * 뇌혈관질환 후유증 : 전 연령 |
대상 의료기관 | 한의원 | 한의원, 한방병원, 한방 진료 과목을 운영하는 병원 및 종합병원 |
환자 본인부담률 | 50% | 한의원 30%, 한방병원·병원 40%, 종합병원 50% |
건강보험 적용 | 환자 1인당 연간 1개 질환으로 10일까지 * 초과시 전액본인부담(100/100) | 환자 1인당 연간 2개 질환에 대해 각 질환별로 20일까지 * 초과시 전액본인부담(100/100) |
- 안면신경마비, 뇌혈관질환후유증, 월경통, 요추 추간판탈출증, 알레르기 비염,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게 치료용 첩약을 처방하는 첩약 건강보험 적용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을 안내합니다.
- 시범사업 참여 환자 조사 결과, 환자 1인당 비용이 비급여 첩약 대비 84,860원 경감 응답
- (첩약처방) 시범사업 대상질환으로 시범사업 참여기관 외래에 내원하여 시범사업 참여에 동의한 환자에게 치료목적 첩약 처방 시 급여 적용
- 첩약은 기준처방 내 5일 또는 10일 단위 처방 가능
- 환자 1인당 연간 2개 질환으로 10일분씩 각 2회 처방 가능, 초과 시 전액본인부담(100/100) ○ (한의사 당) 1일 8건, 월 60건, 연 600건 이내 처방 가능
- 전액본인부담 처방은 해당 건수에 미포함 ○ (조제탕전) 자체탕전실, 공동이용 탕전실, (한)약국
- (한약재) 조제·탕전 실시기관에서 구입한 규격품 한약재(GMP 인증 업체에서 생산되어 표준코드가 부착된 규격품)를 사용하고, 구입 약가로 산정
- (탕전실 관리) 탕전실 운영 시 탕전실 시설 및 인력현황 신고, 탕전실 운영기준 충족 여부 제출, 시범기간 동안 운영기준 유지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