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현황
은내과의원
전화번호: 02-932-1974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해로 389, 203호 (창동, 제일빌딩)
강소아과의원
전화번호: 02-906-1606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덕릉로 253, (창동)
김현소아청소년과의원
전화번호: 02-955-5225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당로13길 15, 2층 (방학동)
참편한정형외과의원
전화번호: 02-6925-3977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461, 4층 (쌍문동, 우림빌딩)
훼밀리마취통증의학과의원
전화번호: 02-900-8275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476, 202호 (창동, 삼성쉐르빌페스티)
이영수의원
전화번호: 02-992-6353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477, (쌍문동)
서울항맥외과의원
전화번호: 02-997-0700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488, 6층 (창동, 대명빌딩)
건강제일의원
전화번호: 02-903-0099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499, 2호 (쌍문동)
성모휴정신건강의학과의원
전화번호: 02-949-1966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551, (쌍문동)
삼성나비뇨의학과의원
전화번호: 02-955-3077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551, 경덕빌딩 4층 (쌍문동)
한얼통증의학과의원
전화번호: 02-900-8872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575, 3층 306호 (쌍문동, 삼환프라자)
항상쾌한외과의원
전화번호: 02-2234-1004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77, 7층층 (방학동)
다사랑신경외과의원
전화번호: 02-930-1961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77, 우리들메디빌딩 2층 203호 (방학동)
한사랑의원
전화번호: 02-956-7545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887, (도봉동)
성모가정의학과의원
전화번호: 02-904-9045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555, 209호 (창동, 쌍용아파트)
동부한일외과내과의원
전화번호: 02-3492-4754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686, 2,3,4층 (도봉동)
나비석내과의원
전화번호: 02-956-7533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859-19, 206호 (도봉동, 한신아파트 근린상가)
동동가정의학과의원
전화번호: 02-956-0415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로 167, 4층 (방학동)
유덕기내과의원
전화번호: 02-956-9831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로 183, 3층 (방학동, 거구빌딩)
한걸음가정의학과의원
전화번호: 02-996-9110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 580-4, 2층 (쌍문동, 노스블릭)
신동아의원
전화번호: 02-954-1857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루봉로 105, 신동아상가 203,204호 (방학동)
바로바로의원
전화번호: 02-956-8808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루봉로 290, (도봉동, 1~3층)
정다운가정의학과의원
전화번호: 997-7545
소재지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16길 26, (창동, 타임프라자)
- 상기자료는 2024년 8월 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특수운영기관현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리스트 다운받기
일차의료 방문진료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질병・부상 및 출산 등으로 인하여 진료를 받아야할 필요성이 있으나 보행이 곤란・불가능하여 환자・보호자의 방문진료요청이 있는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내용을 잘 확인하시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일차의료 방문진료 시범사업이란
- 거동이 불편하여 의료기관에 내원하기 어렵다고 의사가 판단한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 내 의원의 의사가 직접 방문진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원을 안내합니다.
- ※ 해당 기관은 시범사업 등록기관 기준이며, 요양기관 여건상 실제 참여여부는 다를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 가. 국민의 다양한 의료적 욕구에 대한 대응
- ○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환자가 증가하고있으나,
- 재가 환자에 대한 적정한 의료 전달체계가 없어 국민의 욕구 대응공백나. 거동 불편 환자에 대한 의료접근성 개선 필요
- ○ 의료기관 내원 위주의 서비스 제공은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사용할 수 있으나, 거동 불편 환자 등에 대한 의료접근성 문제발생
방문진료 서비스 내용
○ (진찰) 문진, 시진, 청진, 타진, 촉진 등을 실시
○ (처방) 구강섭취약, 연고, 좌약 등에 대한 처방
○ (질환관리) 만성질환, 단순한 급성・아급성 질환 등에 대한관리
○ (검사) 혈압계, 산소포화도측정기, 이경 등을 활용한 기본검사등
○ (의뢰) 필요 시 적절한 전문 의료기관으로의 의뢰
○ (교육상담) 질병 상태 및 관리계획에 대한 환자・보호자 교육실시
○ (기타) 검체 채취, 투약, 주사, 응급처치 등에 대한 교육 등※ 환자의 필요 따라 다양한 서비스 제공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