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인력 14편 조산사 알아보기

조산사는 간호사 면허를 가지고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의료기관에서 1년간 조산수습과정을 마친 자이거나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의 조산사 면허를 받은 자가 조산사 국가시험에 합격한 후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받은 자로서, 조산소, 가정, 산부인과 등에서 산모의 임신, 분만, 산후처치를 보조하고 정상 분만을 유도하며 신생아 및 산전, 산후의 산모를 간호하는 자를 말한다.

조산사란

조산사 하는 일과 자격

○ 의료법 제2조(의료인)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자

– 조산사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간호사 면허를 취득한 자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요양기관에서 1년 간의 조산사 수습과정을 마친 후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함

– 조산(助産)과 임부(妊婦)·해산부(解産婦)·산욕부(産褥婦) 및 신생아에 대한 보건과 양호지도를 업무로 수행함

조산사 현황(양성기관, 인력)

○ (양성기관) ’21년 기준 4개의 조산사 수습기관이 있음

○ (전체인원) ’20년기준 8,220명으로 ’10년대비 358명 감소(연평균 0.43%)

○ (활동인원) ’20년기준 2,895명으로 ’10년대비 26명 감소(연평균 1.3%)

○ (요양기관근무) ’20년기준 1,807명으로 ’10년대비 179명 증가(연평균 1%)

연도별 면허 조산사 활동 유형별 인력 현황

 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연평균증가율
전체639363986411643064506451645964776452644064080.02
(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활동조산사요양기관근무162816821731172217581735177517931813180218071.1
(25.5)(26.3)(27)(26.8)(27.3)(26.9)(27.5)(27.7)(28.1)(28)(28.2)
비의료기관 근무12411261126112751309125212321162116911141088-1.3
(19.4)(19.7)(19.7)(19.8)(20.3)(19.4)(19.1)(17.9)(18.1)(17.3)(17)
비활동 조산사35243455341934333383346434523522347035243513-0.02
(55.1)(54)(53.3)(53.4)(52.4)(53.7)(53.4)(54.4)(53.8)(54.7)(54.8)

성별과 연령별 분포

○ 요양기관 근무 조산사는 모두 여성임

○ 요양기관 근무 조산사 평균연령은 54.6세로 ‘10년대비 8.9세 증가

요양기관 유형별 연령대별 조산사 활동 인력 분포 및 평균 연령

 평균연령20대30대40대50대60대70대이상
전체54.61.26.919.54027.64.9
상급종합45.95.123.129.139.33.40
종합병원48.53.213.632.940.18.61.6
병원53.30.66.823.245213.4
요양병원60.30.20.86.83648.38
의원53.207.327.443.617.34.5
조산원53.901.62352.519.73.3
보건소 및 보건기관54.5023.17.730.838.50
기타61.80010.230.642.916.3

조산사 임금과 연봉

○ 요양기관 근무 조산사 평균임금은 ’20년 43,371,440원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2.7% 증가

자료 출처

보건인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보건의료인력정책심의위)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