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 보조장치치료술(이식형) 시술 병원
심실 보조장치치료술(이식형) 병원 현황
병원/약국명 | 병원/약국구분 | 전화번호 | 소재지주소 |
---|---|---|---|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 종합병원 | 02-1811-7755 |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1021, (진관동) |
강북삼성병원 | 상급종합 | 02-2001-2001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29, (평동) |
경북대학교병원 | 상급종합 | 053-200-5114 |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30, (삼덕동2가, 경북대학교병원) |
계명대학교동산병원 | 상급종합 | 1577-6622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35, (신당동) |
부산대학교병원 | 상급종합 | 240-7000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아미동1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상급종합 | 031-787-2114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73번길 82, (구미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연세대학교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 상급종합 | 02-2019-3114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211, 강남세브란스병원 (도곡동) |
의료법인 길의료재단 길병원 | 상급종합 |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대로774번길 21-0, 의료법인길의료재단길병원 | |
인천세종병원 | 종합병원 | 032-240-8000 |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문화로 20- , (작전동) |
중앙대학교병원 | 상급종합 | 1800-1114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102, (흑석동) |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 종합병원 | 055-214-2000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삼정자로 11, (성주동, 창원경상대학교병원) |
충남대학교병원 | 상급종합 | 042-1599-7123 |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282- , (대사동) |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안암병원) | 상급종합 | 1577-0083 |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로 73, 고려대병원 (안암동5가) |
학교법인가톨릭학원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 상급종합 | 02-1588-1511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 (반포동) |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 종합병원 | 031-8086-3000 | 경기도 화성시 큰재봉길 7, (석우동) |
한림대학교성심병원 | 상급종합 | 031-380-1500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평로170번길 22, (평촌동) |
심실 보조장치치료술(이식형)
불응성 말기 심부전환자에 대하여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고시에 의거, 요양급여 실시기관 승인(이식형)을 받은 의료기관을 안내합니다.
심실보조장치 치료술 수술개요
심실보조장치는 환자 심장 역할을 보조하여 혈액 순환을 우회 순환 시킴으로써 심장의 회복을 도와주는 장치로, 좌심실보조장치(LVAD), 우심실보조장치(RVAD), 양심실보조장치(BiVAD)가 있습니다.좌심실 기능부전 환자에게 좌심실 역할을 보조하는 장치입니다. 복부 바깥으로 드라이브라인이 노출되고 이 관을 통해 펌프와 컨트롤러, 배터리가 연결됩니다. 심장이식 가교 역할을 위해 일시적으로, 또는 심장이식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말기 심부전 환자에게 영구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좌심실보조장치
좌심실부전 환자에서 좌심실의 기능을 보조하는 장치로 혈액 펌프를 좌심실 끝에 이식한 뒤 펌프에 부착된 인조혈관을 통해 상행 대동맥으로 혈액을 우회하여 순환시켜주는 장치입니다.
우심실보조장치
우심실부전 환자에서 우심실의 기능을 보조하는 장치로 혈액 펌프를 우심실 끝에 이식한 뒤 펌프에 부착된 인조혈관을 통해 폐동맥으로 혈액을 우회하여 순환시켜주는 장치입니다.
양심실보조장치
좌심실 및 우심실 기능이 모두 저차되어 있는 경우에 위의 두 방법을 병행하여 사용합니다.
수술과정
전신마취를 시행하고, 정중 흉골 절개를 통하여 심장을 노출시킵니다. 인공 심폐기를 사용하여 심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후 심장 내부의 혈류 흐름을 차단시킵니다.
좌심실 끝부분에 펌프를 고정하고 복부를 통한 드라이브라인이 바깥으로 나갈 수 있게 위치하여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합니다.
펌프의 배출로를 상행 대동맥에 연결합니다. 좌심실보조장치를 가동하여 기능을 확인합니다.
인공 심폐기를 중지시킨 후 인공 심폐기 가동을 위해 넣었던 혈관 캐뉼라를 제거합니다. 지혈을 한 후 상처를 봉합합니다.
수술은 4~6시간 정도 소요되지만 과거 심장수술을 받은 경우나 동반된 다른 수술이 있는 경우 시간이 더 오래 소요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