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 보조장치치료술(체외형&이식형) 시술 병원
심실 보조장치치료술(체외형&이식형) 병원 현황
병원명 | 구분 | 전화번호 | 우편번호 | 소재지주소 |
---|---|---|---|---|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안산병원 | 상급종합 | 031-1577-7516 | 15355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적금로 123, (고잔동) |
부천세종병원 | 종합병원 | 1599-6677 | 14754 | 경기도 부천시 호현로489번길 28, (소사본동, 세종병원) |
삼성서울병원 | 상급종합 | 02-3410-2114 | 0635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81, (일원동, 삼성의료원) |
서울대학교병원 | 상급종합 | 1588-5700 | 03080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연건동)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상급종합 | 055-360-1000 | 50612 |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금오로 20, (물금읍) |
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 상급종합 | 02-2228-0114 | 03722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1, (신촌동) |
재단법인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 상급종합 | 02-3010-3114 | 05505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서울아산병원 (풍납동) |
전남대학교병원 | 상급종합 | 062-1899-0000 | 61469 |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42, (학동) |
심실 보조장치치료술(체외형&이식형)
불응성 말기 심부전환자에 대하여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고시에 의거, 요양급여 실시기관 승인(이식형, 체외형)을 받은 의료기관을 안내합니다.
심실보조장치 치료술 수술개요
심실보조장치는 환자 심장 역할을 보조하여 혈액 순환을 우회 순환 시킴으로써 심장의 회복을 도와주는 장치로, 좌심실보조장치(LVAD), 우심실보조장치(RVAD), 양심실보조장치(BiVAD)가 있습니다.좌심실 기능부전 환자에게 좌심실 역할을 보조하는 장치입니다. 복부 바깥으로 드라이브라인이 노출되고 이 관을 통해 펌프와 컨트롤러, 배터리가 연결됩니다. 심장이식 가교 역할을 위해 일시적으로, 또는 심장이식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말기 심부전 환자에게 영구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좌심실보조장치
좌심실부전 환자에서 좌심실의 기능을 보조하는 장치로 혈액 펌프를 좌심실 끝에 이식한 뒤 펌프에 부착된 인조혈관을 통해 상행 대동맥으로 혈액을 우회하여 순환시켜주는 장치입니다.
우심실보조장치
우심실부전 환자에서 우심실의 기능을 보조하는 장치로 혈액 펌프를 우심실 끝에 이식한 뒤 펌프에 부착된 인조혈관을 통해 폐동맥으로 혈액을 우회하여 순환시켜주는 장치입니다.
양심실보조장치
좌심실 및 우심실 기능이 모두 저차되어 있는 경우에 위의 두 방법을 병행하여 사용합니다.
수술과정
전신마취를 시행하고, 정중 흉골 절개를 통하여 심장을 노출시킵니다. 인공 심폐기를 사용하여 심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후 심장 내부의 혈류 흐름을 차단시킵니다.
좌심실 끝부분에 펌프를 고정하고 복부를 통한 드라이브라인이 바깥으로 나갈 수 있게 위치하여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합니다.
펌프의 배출로를 상행 대동맥에 연결합니다. 좌심실보조장치를 가동하여 기능을 확인합니다.
인공 심폐기를 중지시킨 후 인공 심폐기 가동을 위해 넣었던 혈관 캐뉼라를 제거합니다. 지혈을 한 후 상처를 봉합합니다.
수술은 4~6시간 정도 소요되지만 과거 심장수술을 받은 경우나 동반된 다른 수술이 있는 경우 시간이 더 오래 소요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