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우울증 치료 잘하는 추천병원(평가인증)

우울증 추천병원

경기도 안성시의 우울증 치료 잘하는 병원

경기도 안성시에는 다음 병원들이 있습니다: 성가의원, 하나정신건강의학과의원, 안성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서안성의원, 허리편한 병원,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안성한주의원, 안성성모병원, 동안성병원, 자애의원, 한양내과의원까지 총 10개의 병원이 있습니다.

성가의원 소개

하나정신건강의학과의원 소개

안성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서안성의원 소개

허리편한 병원 소개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소개

안성한주의원 소개

안성성모병원 소개

동안성병원 소개

자애의원 소개

한양내과의원 소개

  • 해당자료는 2025년 1월 1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병원평가검색을 이용했습니다.
  • 급성심근경색증, 간암, 포괄수가, 병원표준화 사망비,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치과 근관치료, 중소병원 항목은 병원평가 공개에서 제외됩니다.
  • 세부항목 : 정신건강 – 우울증 외래

위 병원들을 추천하는 이유

우울증 외래 평가는 우울증 치료이력이 없는 우울증 신규환자를 진료하는 모든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합니다. 우울증은 우울증상 개선을 위해서 지속적인 의료기관 방문 및 객관적인 우울증상 평가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외래 방문을 유도하고 우울증상 평가를 통해 정확하게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며, 치료경과를 확인하는 의료기관이 좋은 의료기관입니다.

평가결과

  • 1등급 종합결과가 70점 이상인 기관
  • 2등급 종합결과가 55점 이상 ~ 70점 미만인 기관
  • 3등급 종합결과가 40점 이상 ~ 55점 미만인 기관
  • 4등급 종합결과가 25점 이상 ~ 40점 미만인 기관
  • 5등급 종합결과가 25점 미만인 기관
  • 등급제외

※ 평가결과는 5개 등급으로 나누어 공개합니다. 등급숫자가 작을수록 우수한 병원입니다.
※ 평가기간 6개월 동안 평가대상이 15명 미만인 의료기관 제외

전국 병원평가 자료

최신 보건복지부 의료비 지원사업

우울증 외래 적정성 평가 소개

< 2023년(2차) 우울증 외래 적정성평가 주요내용 >

▪ 평가대상
◦ (대상기간) 2023년 1월∼ 6월(6개월) 진료분
◦ (대상기관) 상급종합병원~의원까지 4,114개소
◦ (대상환자) 만 18세 이상 우울증으로 외래를 방문한 신규환자

▪ 평가결과
◦ 종합점수 47.0점으로 1차 대비 3.8점 상승, 1등급 895개소

첫 방문 후 3주 이내 재방문율

⦁우울증의 치료는 크게 약물 치료와 정신요법 치료로 나뉘는데, 약물 치료는 초기 단계적 증량 및 부작용 관리가 향후 약물효과나 약물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며, 정신치료는 치료 초기에 빈도를 높일수록 우울증 개선에 도움이 됨
⦁초기 치료의 반응에 따라 관해에 이르는 비율이 달라지므로 항우울제 최초 처방 후 조속한 시일 내에 초기 치료 반응과 부작용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른 약물 조정이 필요함

첫 방문 후 8주 이내 3회 이상 방문율

⦁초기의 단계적 항우울제 증량 및 약물의 부작용 관리가 향후 약물순응도 및 치료효과에 영향을 주며 정신치료도 초기 횟수를 높여야 우울증상 개선에 효과적임
⦁또한, 치료 초기에 정기적인 자살 위험성의 모니터링이 필요함

우울증상 초기평가 시행률

⦁우울증 초기에 우울증상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우울증의 심각도와 공존질환, 치료예후 등을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환자 맞춤형 치료전략을 계획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우울증 치료가 될 수 있음
⦁치료 후 우울증상평가척도를 이용한 재평가를 통하여 객관적인 치료 정도를 확인 가능함

우울증상 재평가 시행률

⦁우울증 치료에서 환자 상태의 모니터링은 매우 중요하며 우울증상평가척도를 사용하여 환자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제공해야 함

항우울제 84일 이상 처방 지속률

⦁급성기 우울증 치료의 목표인 관해에 이르기 위한 급성기 치료 기간은 3개월 이내이며 항우울제의 초기 반응을 위한 지속 복용이 필요함

항우울제 180일 이상 처방 지속률

항우울제를 180일 이상 지속 처방받은 우울증 외래 신규환자 비율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