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의창구 첩약은 한약재를 사용해 치료용 한약을 말합니다. 한약도 건강보험을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모두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월경통, 안면신경마비, 뇌혈관질환 후유증에 첩약의 치료 효과가 좋은 알레르기 비염, 기능성 소화불량, 요추추간판탈출증을 대상으로 치료를 받을 약을 처방받을때 가능합니다.
건강보험은 2024년 4월부터 2단계 시범사업을 시행하였고, 시행되는 병의원에서 본인부담률에 대해 적용받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하기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병원 목록
병원명 | 구분 | 주소 |
---|---|---|
현대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봉로 14, (봉림동) |
우리조은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주남로 553, (대산면) |
해밀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도계로 57, (도계동, 중앙빌딩 2층 204호) |
경희송암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도계로 66, (도계동, 정화빌딩) |
한솔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용정길46번길 43, 1층 |
신상호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의창대로 854, (동읍) |
열린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명지로 82-4, (명서동) |
홍원당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봉곡로111번길 8, (봉곡동, 동승빌딩) |
우리들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봉곡로124번길 1, (봉곡동) |
감계명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감계로 300, (402,403호) |
고운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감계로 304, (재생빌딩301호) |
큰숲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사림로45번길 1, 동진자동차정비 1층 (봉곡동) |
참경희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서상로 71, (서상동, 세경빌딩) |
해맑은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소계로 83-5, (소계동, 해맑은한의원) |
예이재한방병원 | 한방병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용동로 45, 현대썬앤빌 더 스퀘어 A동 5-6층 (사림동) |
정직한뜸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우곡로217번길 10, 더큰병원 1층 105호 (명서동) |
동서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원이대로 259, 상아빌딩 4층 (봉곡동) |
창덕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원이대로 283, (봉곡동, 청마상가) |
제생당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원이대로189번길 34, (명서동, 남천상가) |
흥시윤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읍성로 71, 원창상가 5층 501,502,503호 (소답동) |
동인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읍성로 86, 1층 (소답동) |
진산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읍성로33번길 2-1, (북동) |
코비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의안로2번길 37, 에은빌딩 4층 (소답동) |
우보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동중앙로 83, 디세븐파크 3층 313~316호 (중동) |
석현365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동중앙로 95, 304~5호 (중동) |
경희감초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창이대로 199, 무지개상가 (봉곡동) |
대성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로 428, (팔용동, 드림피아) |
원광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로 429, (팔용동, 팔용프라자) |
경희대화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로 438, 402호 (팔용동, 팔용종합상가) |
제가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로 438, 404호(팔용동,팔용종합상가) (팔용동) |
코아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로443번길 1, (팔용동, 혜성빌딩) |
유니한방병원 | 한방병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평산로 102, 녹주빌딩 2,3층 (팔용동) |
이호한의원 | 한의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하남천서길9번길 1, 도계아카데미 4층 402호 (도계동) |
- 상기자료는 2024년 7월 1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특수운영기관현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전국 리스트 다운받기
주요 대상 질병코드
안면신경마비 | 뇌혈관질환후유증 | 월경통 |
G510 벨마비 | I69 뇌혈관질환의 후유증U234 중풍후유증 | N944 원발성 월경통N945 이차성 월경통N946 상세불명의 월경통 |
알레르기비염 | 기능성소화불량 | 요추추간판탈출증 |
J30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 | K30 기능성 소화불량 | M51 기타 추간판장애 |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 개요
구분 | 1단계 시범사업 | 2단계 시범사업 |
---|---|---|
시행 | ’20.11.20~‘24.4.28 | ’24.4.29~‘26.12.31. |
대상 질환 | 월경통, 안면신경마비, 뇌혈관질환 후유증 * 뇌혈관질환 후유증 : 65세 이상 | 1단계 + 알레르기 비염, 기능성 소화불량, 요추추간판탈출증 * 뇌혈관질환 후유증 : 전 연령 |
대상 의료기관 | 한의원 | 한의원, 한방병원, 한방 진료 과목을 운영하는 병원 및 종합병원 |
환자 본인부담률 | 50% | 한의원 30%, 한방병원·병원 40%, 종합병원 50% |
건강보험 적용 | 환자 1인당 연간 1개 질환으로 10일까지 * 초과시 전액본인부담(100/100) | 환자 1인당 연간 2개 질환에 대해 각 질환별로 20일까지 * 초과시 전액본인부담(100/100) |
- 안면신경마비, 뇌혈관질환후유증, 월경통, 요추 추간판탈출증, 알레르기 비염,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게 치료용 첩약을 처방하는 첩약 건강보험 적용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을 안내합니다.
- 시범사업 참여 환자 조사 결과, 환자 1인당 비용이 비급여 첩약 대비 84,860원 경감 응답
- (첩약처방) 시범사업 대상질환으로 시범사업 참여기관 외래에 내원하여 시범사업 참여에 동의한 환자에게 치료목적 첩약 처방 시 급여 적용
- 첩약은 기준처방 내 5일 또는 10일 단위 처방 가능
- 환자 1인당 연간 2개 질환으로 10일분씩 각 2회 처방 가능, 초과 시 전액본인부담(100/100) ○ (한의사 당) 1일 8건, 월 60건, 연 600건 이내 처방 가능
- 전액본인부담 처방은 해당 건수에 미포함 ○ (조제탕전) 자체탕전실, 공동이용 탕전실, (한)약국
- (한약재) 조제·탕전 실시기관에서 구입한 규격품 한약재(GMP 인증 업체에서 생산되어 표준코드가 부착된 규격품)를 사용하고, 구입 약가로 산정
- (탕전실 관리) 탕전실 운영 시 탕전실 시설 및 인력현황 신고, 탕전실 운영기준 충족 여부 제출, 시범기간 동안 운영기준 유지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