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장애인 건강주치의 진료받기

인천 장애인 건강주치의 진료받기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기관

병원명구분연락처소재지주소
서송병원병원032-551-0114인천광역시 계양구 경명대로972번길 9, 계산종합의료단지 A,B동 전체호 (계산동)
하이큐송석호내과의원의원032-543-6001인천광역시 계양구 안남로 512, 2층 (효성동)
송헌일토닥토닥정신건강의학과의원의원032-543-7583인천광역시 계양구 장제로 899, 2층 (임학동)
정을식내과의원의원032-426-2301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대로 931, 2층 일부호 (간석동)
미추홀병원병원032-430-6200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대로799번길 25, (구월동)
한사랑의원의원032-466-8275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로 107, 2층 (만수동, 은성프라자)
소화소아청소년과의원의원032-464-7575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로 63, 303,304호 (만수동, 만수프라자)
브래덤재활병원병원456-7600인천광역시 남동구 예술로192번길 36, (구월동, 지하1층~지하3층, 지상1층일부, 2층~9층)
연세소래메디칼의원의원437-7585인천광역시 남동구 포구로 75, 2,3,4층 (논현동, 송원빌딩)
153신경외과의원의원032-217-1100인천광역시 남동구 호구포로 830, 5층 (구월동)
서울100세의원의원032-772-1002인천광역시 동구 송림로 80, 송림센트럴타워 2,3층 (송림동)
굿모닝가정의학과의원의원032-866-7533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석정로 327, (도화동)
박안과의원의원032-512-0591인천광역시 부평구 경원대로 1234, 2층 (산곡동, 삼주빌딩2)
인천평화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평화의원의원032-524-6911인천광역시 부평구 경인로1104번길 15, 1층 (일신동)
한튼튼재활의학과의원의원032-519-7500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635, 엘림타워 401, 403호 (삼산동)
박현수정형외과의원의원032-507-6222인천광역시 부평구 수변로 8, 202,204,205,206호 (부개동, 파워프라자)
김성철신경외과의원의원032-583-7582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로 287, 지하1층~1층 (석남동)
새빛튼튼의원의원561-8915인천광역시 서구 고산후로95번길 20, 힘찬프라자 301,302호 (당하동)
루원마음봄 정신건강의학과의원의원032-569-7585인천광역시 서구 봉오대로 255, 6층 605,606호 (가정동)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종합병원032-1600-8291인천광역시 서구 심곡로100번길 25-0, 인천국제성모병원
의료법인루가의료재단 나은병원종합병원032-584-0114인천광역시 서구 원적로 23- , 23
한길정형외과의원의원032-576-7582인천광역시 서구 원적로 85, 201호 (가좌동, 우신프라자)
모아소아청소년과.가정의학과의원의원032-818-1365인천광역시 연수구 앵고개로264번길 30-4, 201호 (동춘동, 영남프라자)
경인권역재활병원병원032-899-4591인천광역시 연수구 원인재로 263, (연수동)

전국 장애인 건강주치의 병원 찾기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기관이란?

중증 장애인이 장애인 건강주치의로 등록 신청한 의사를 일반건강관리 또는 주장애관리 건강주치의로 선택하여 만성질환이나 장애 관련 건강상태 등을 지속적·포괄적으로 관리받을 수 있는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을 안내합니다.

개요

장애인 건강 주치의 교육을 이수한 의사가 일반건강관리 또는 주장애관리 건강 주치의로 등록하여, 중증장애인에게 만성질환 또는 장애 관련 건강관리를 지속적·포괄적으로 제공하고자 함

대상

「장애인건강권법」 제16조 및 동 법률 시행령 제5조에 따른 ‘중증 장애인’으로 만성질환 또는 장애에 대한 건강관리가 필요한 자

주요 서비스

포괄평가 및 계획수립
장애인의 만성질환 또는 장애 관련 건강문제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연간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종합계획서를 제공합니다.

교육·상담
장애인의 질병이나 장애로 인한 여러 문제를 이해시키고, 자기관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준화된 교육·상담 매뉴얼에 따라 건강 주치의가 1대1 대면으로 장애인과 최소 10분 이상 교육·상담을 제공합니다.

환자관리
거동불편 등 사유로 내원이 어려운 경우 건강 주치의가 주기적으로 전화로 비대면 교육·상담을 제공하며, 환자상태·약물복용여부·합병증 유무 등을 확인합니다.

방문 서비스
방문진료통원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을 대상으로 건강 주치의가 방문하여 포괄평가 및 계획, 교육·상담 및 간단한 검사·처치, 처방 등을 제공합니다.
방문간호건강 주치의가 수립한 포괄평가 및 관리계획에 따라 간호사가 방문하여 기본간호, 간단처치 등을 제공합니다.
방문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는 의료기관(보건기관 포함) 근무경력이 2년(24개월)이상인 간호사 또는 가정전문간호사로 건강 주치의가 소속된 동일 의료기관에 근무해야 합니다.

맞춤형검진바우처 제공
일반건강관리, 통합관리 주치의가 소속된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일반건강관리, 통합관리 장애인 건강주치의 사업에 참여하는 고혈압, 당뇨병 환자(장애인)에게 질환별 검사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질환별 검진바우처 검사 항목
고혈압지질검사 4종(2회), 심전도, 소디움, 포타슘, 알부민뇨, eGFR, 요일반검사(4,7,10종)
당뇨병지질검사 4종(2회), 포타슘, 알부민뇨, 당화혈색소(4회), eGFR, 요일반검사(4,7,10종)
고혈압+당뇨병지질검사 4종(2회), 심전도, 소디움, 포타슘, 알부민뇨, 당화혈색소(4회), eGFR, 요일반검사(4,7,10종)


협력기관간 진료의뢰 회송 시범사업 활용
건강주치의가 중증장애인의 건강문제(만성질환으로 인한 합병증 등)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문분야 또는 타 진료 분야에 의뢰하고 그 결과를 회신받아 관리하는 서비스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