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학교병원 응급실 이용방법

충북대학교병원 응급실 이용방법

응급실 찾아가기

충북대학교병원 응급실 이용방법

주소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1순환로 776
연락처1533-0075

센터 내 시설 안내

1층 응급의료센터
충북 도내 유일의 상급 종합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로서 응급환자에게 양질의 응급의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모든 임상분야에 걸쳐 넓은 진료영역을 가진 응급의학과 전문의와 응급의학과 전공의, 응급구조사, 간호사가 24시간 상주하고 있습니다.

2층 응급중환자실
권역응급의료센터 응급중환자실은 총 20병상을 운영하고 있으며 중부권 응급 중환자실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최상의 의료기기를 갖추고 중환자실 전담의가 상주하고 있으며 숙련된 간호사가 전문적이고 특성화된 의료기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심∙뇌혈관계 질환을 포함한 중증응급질환자들을 대상으로 최상의 전문적인 치료 및 간호를 제공하고자 끊임없는 교육과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5층 응급병동(5병동)
응급병동은 응급실에서 초기 치료 후에 입원 치료를 요하는 분이나 응급 중환자실에서 상태가 호전되어 일반입원실 치료가 필요한 분들을 24시간 언제든지 지체 없이 수용하여 치료하는 병동으로 권역응급의료센터(동관) 5층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응급병동은 24시간 언제든지 응급실-입원치료 또는 응급중환자실-일반입원실 치료 간의 공백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탄력적인 병실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응급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가까이에 장비와 의료진을 갖추어 신속, 안전, 편안한 입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응급실 진료 구역

응급실 진료 구역

환자분류소(Triage)
응급센터에 내원한 환자들은 응급센터 원무과에서 접수한 뒤 응급센터 입구에 위치한 환자분류소에서 병력과 활력징후에 따라 한국형 응급환자분류도구(KTAS)에 의해 중증응급환자(S), 성인환자(A,B), 소아환자(C), 외상환자(T)로 분류됩니다. 중증도에 따라 진료순서가 정해지고, 재실환자가 만석인 경우 환자분류소에서 대기를 할 수 있습니다.

중증응급환자구역
혈역학 및 신경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는 중증 응급환자로 분류되며, 중증응급환자구역에서 진료를 받게 됩니다.

응급환자구역(A,B)
성인응급환자 진료구역으로 증상 및 중증도에 따라 A 및 B 구역으로 분류되어 진료를 받게 됩니다.

소아응급환자구역
18세미만의 소아환자를 진료하는 별도 구역입니다. 소아과 및 응급의학과의 24시간 진료가 가능합니다.

외상응급환자구역
외상으로 인한 환자를 진료하는 구역입니다.

응급실 진료 절차

응급실은 성인 진료구역과 소아 진료구역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도착한 응급환자는 환자분류실에서 환자의 중증도가 분류되고 이에 따라 소생실, 중증구역, 응급 A, B구역 및 격리병상 등으로 분류되어 상태와 중증도에 따라 적정한 평가와 치료를 받게 됩니다.

응급실의 진료 순서는 접수 시간이 아닌 응급 증상에 따라 의료진이 판단하여 진료의 우선순위가 정해집니다.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31조의5(응급실 출입제한)에 의거 환자의 보호자로서 응급실 출입이 가능한 사람은 원칙적으로 환자 1인당 1명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단, 1명의 보호자로는 보조하기 어려운 경우 추가하여 보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도 있습니다.)

응급실 상주 외의 보호자께서는 응급실 밖 보호자 대기실을 이용하기시 바랍니다.

응급환자 전원절차

STEP 1
응급환자를 전원하는 경우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4조 1항에 의거, 이송하는 병원에서 ‘응급의료정보센터’를 통하여 이송 의료기관의 수용 가능 여부의 확인과 적절한 이송 수단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STEP 2
환자의 상태 및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진료 중인 병원의 주치의가 본원 응급의료센터 전원의뢰 의료진 전용폰으로 전화를 하여 전원 가능 여부를 문의해야 합니다.

STEP3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수용가능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내원한 경우 본원에서 수용이 어려운 경우 진료 중이던 병원 또는 인근의 타 의료기관으로 재 전원을 하게 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