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한의원 현황 은덕한의원 전화번호: 02-385-0553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가좌로 241-1, 이서주택 2층 (응암동) 영주한의원 전화번호: 02-373-7300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가좌로 321, 2층 (신사동, 백송빌딩) 살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살림한의원 전화번호: 070-5121-6685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갈현로12길 17-1, 1층 (역촌동) 고경당한의원 전화번호: 02-382-4060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오릉로 217, 2층 (구산동) 신세계한의원 전화번호: 02-306-7588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로 191, 3층 (증산동, 두빌191) 경희자인한의원 전화번호: 02-358-0222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222, (대조동, 유니온빌딩3층) 우리들한의원 전화번호: 02-352-8889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249, 2층 (불광동) 서울연신내한의원 전화번호: 02-358-8808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251, 2층 (불광동) 나눔한의원 전화번호: 02-355-1075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276, 2층 (불광동) 거북이한의원 전화번호: 02-385-0675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3길 48, 1층 (역촌동) 자명한의원 전화번호: 02-352-9996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은평로 197-1, 2층 (녹번동) 봄한의원 전화번호: 02-302-2225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174-2, 2층 (응암동) 부부한의원 전화번호: 02-309-2488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175-1, (응암동) 어진한의원 전화번호: 02-6372-1075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 275, 순수지혜 2층 (증산동) 최씨명가한의원 전화번호: 02-373-6470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 297, 301호 (증산동, 청록빌딩) 숭실한의원 전화번호: 02-376-8875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15가길 1, (신사동) 인산한의원 전화번호: 02-303-7585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3길 6, VISARIM빌딩 3층 (증산동) 구파발이한의원 전화번호: 02-383-3877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2로 29-21, 309호 (진관동, 드림스퀘어) 구파발경희한의원 전화번호: 02-355-4517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4로 47, 708동 115호 (진관동,은평뉴타운상림마을) 연강한의원 전화번호: 02-389-1075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1길 17, 2층 (역촌동) 연아한의원 전화번호: 02-6952-0026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636, 은평 미드스퀘어 3층 312,313,314호 (녹번동) 경락한의원 전화번호: 02-354-0796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912, (불광동) 인의한의원 전화번호: 02-386-7975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67길 3, 2층 (대조동) 엄마한의원 전화번호: 02-383-3876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87길 19, 2층 (갈현동) 상기자료는 2024년 9월 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특수운영기관현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리스트 다운받기 거동이 불편하여 의료기관에 내원하기 어렵다고 한의사가 판단한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 내 한의원의 한의사가 직접 방문진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한의원을 안내합니다. 해당 기관은 시범사업 등록기관 기준이며, 요양기관 여건상 실제 참여여부는 다를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시범사업이란?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시범사업이란? 지역사회 한의원이「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 시범사업」에 참여하여 거동불편 환자에게 방문진료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환자는 동 사업을 통해 한의사의 진찰과 교육상담 외에 침술, 뜸, 부항 등의 질환 관리를 받을 수 있다. 그동안 방문진료를 실시하는 경우 의료기관 내 진료와 동일하게 진찰료만 산정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제도가 활성화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으며,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의과 방문진료 시범 수가를 1회당 약 9만3000원 수준으로 책정하여 방문진료에 따른 기회비용을 보상하기로 하였습니다. 환자는 방문진료 시범 수가의 100분의 30(의원급 외래본인부담률) 부담 본인부담상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