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환자 질병군별 질병의 종류

입원환자 질병군별 질병의 종류

해당자료는 심평원 국민소통-고객의소리-상담문의-<자주하는 질문>을 참고하였습니다. 질문 환자구성비율 산출 시 적용되는 전문·일반·단순진료질병군별 질병의 종류는 어디서 확인 가능한가요? 답변 「상급종합병원의 지정 및 평가규정」 고시 제2023-265호 [별표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검색 가능합니다. 관련근거

의원중점 외래질병

의원중점 외래질병

해당자료는 심평원 국민소통-고객의소리-상담문의-<자주하는 질문>을 참고하였습니다. 질문 의원중점 외래질병 대상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의원중점 외래질병은 「본인 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보건복지부 고시 제2020-308호) [별표6] “약국 요양급여비용총액의 본인부담률 산정특례 대상”의 100개 상병으로,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검색 가능합니다. (단, 2022년 3월 1일부터는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1-362호)에 따라 삭제상병 3개(E7800, H931, L5080)를 평가 제외 대상에서 반영하고, 나머지는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0-308호) 기준으로 동일적용) … Read more

재활의료기관 알려드립니다.

재활의료기관 알려드립니다.

해당자료는 심평원 국민소통-고객의소리-상담문의-<자주하는 질문>을 참고하였습니다. 질문 재활의료기관은 어떤 기관인가요? 답변 재활의료기관은 뇌졸중, 척수손상등과 같은 급성질환의 수술 및 치료 이후 회복시기에 집중 재활치료를 제공하여 장애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병원입니다. 관련근거

재활의료기관 지정현황

재활의료기관 지정현황

해당자료는 심평원 국민소통-고객의소리-상담문의-<자주하는 질문>을 참고하였습니다. 질문 재활의료기관으로 지정된 기관은 어디서 조회할 수 있나요? 답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재활의료기관으로 지정된 기관 목록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관련근거

재활의료기관 대상환자

재활의료기관 대상환자

해당자료는 심평원 국민소통-고객의소리-상담문의-<자주하는 질문>을 참고하였습니다. 질문 재활의료기관에 입원할 수 있는 환자는 어떤 환자고, 얼마나 입원가능 한가요? 답변 회복기 재활 대상환자는 대상 환자군과 환자군별 입원시기 및 입원일을 정하고 있습니다. 대상 환자군 대상 질환 중추신경계 가 (뇌손상) 뇌졸중, 외상성 및 비외상성 뇌손상 나 (척수손상) 외상성 및 비외상성 척수손상 근골격계 다-1 (단일 부위) 고관절, 골반, 대퇴의 골절 및 치환술 다-2 (다발 부위) 고관절, 골반, 대퇴를 포함하는 2부위 이상 골절 … Read more

입원일수 적정성평가 대상

입원일수 적정성평가 대상

해당자료는 심평원 국민소통-고객의소리-상담문의-<자주하는 질문>을 참고하였습니다. 질문 입원일수 적정성평가 대상기간 및 대상기관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1차 평가대상 기간은 2023년 4월부터 2024년 3월 진료분으로 2024년 6월까지 심사결정이 완료된 건의 입원 명세서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평가 대상기관은 의과 입원료를 청구한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입니다.단, 재활의료기관, 요양병원, 정신병원, 결핵·한센·군병원, 대상기간 내 개·폐업기관 등은 제외됩니다. ※ 2023년(1차) 입원일수 적정성평가 세부시행계획 확인 경로ㆍ(국민) … Read more

입원일수 적정성평가 대상자

입원일수 적정성평가 대상자

해당자료는 심평원 국민소통-고객의소리-상담문의-<자주하는 질문>을 참고하였습니다. 질문 입원일수 적정성평가 대상환자는 어떻게 되나요? 답변 대상기간 내에 동일 요양기관에서 입·퇴원이 이루어진 만 1세 이상 의과입원환자 입니다.단, 대상기간 내 원내 사망, 7개 질병군 포괄수가 입원, 재활·호스피스·정신질환 입원, 당일 입·퇴원 환자는 제외합니다. *재활: 재활의학과 입원건**호스피스: 호스피스 정액 또는 호스피스 입원료 수가가 포함된 입원건***정신질환: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주상병(F00~F99)인 입원 건 또는 의료급여정신과정액 관련근거 … Read more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가감지급사업 주기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가감지급사업 주기

해당자료는 심평원 국민소통-고객의소리-상담문의-<자주하는 질문>을 참고하였습니다. 질문 의원 외래 약제급여 적정성평가 가감지급사업의 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답변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와 달리, 가감지급사업은 6개월(반기)단위로 시행하고 있으며 가감지급 사업 결과는 e-평가시스템을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관련근거

골밀도검사 산정횟수

골밀도검사 산정횟수 점검

해당자료는 심평원 국민소통-고객의소리-상담문의-<자주하는 질문>을 참고하였습니다. 질문 골밀도검사의 인정기준이 궁금합니다. 답변 다334 골밀도검사의 급여기준은 다음과 같이 함. 관련근거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293호(2023.12.29.) “골밀도검사의 급여기준”

비자극검사 산정횟수

비자극검사 산정횟수

해당자료는 심평원 국민소통-고객의소리-상담문의-<자주하는 질문>을 참고하였습니다. 질문 산전진찰 목적으로 시행하는 검사의 요양급여 범위가 궁금합니다. 답변 임신 24주 이상 자궁수축이 없는 임부에게 임신기간 중에 입원, 외래 불문하고 1회만 인정하며, 다태임신의 경우에도 1회만 산정합니다. 다만, 35세 이상 임부에 한하여 1회를 추가로 인정합니다. 관련근거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8-135호(2018.7.2.) “산전진찰 목적으로 시행하는 검사의 급여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