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고] 개복수술 탈장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외과, 흉부외과 개복 수술 후 복벽 탈장이 생겼습니다. 저는(60대/남) 십이지장궤양 천공으로 복막염이 생겨 유문성형술을 받았습니다. 수술 6개월 정도 경과 후 수술 부위에 혹이 만져서 병원에 가보니 복벽 절개탈장이라고 하여 탈장 수술을 받았습니다. 수술 부위에 일어난 탈장이므로 수술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병원 측에 의료과실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요? 최선의 조치를 다하였는지, 일반적인 합병증의 범위인지 알아보아야 합니다. … Read more

[의료사고] 진단 지연으로 의식불명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뇌출혈, 두개골 골절, 진단지연 진단 잘못으로 의식불명상태가 되었습니다 교통사고 후 우측 두통이 심하여 응급실에서 CT검사 등을 하였는데 별 이상 없다고 하여 퇴원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저녁부터 심한 두통이 재발되면서 쓰러져 다시 응급실에서 검사를 한 결과 뇌출혈로 진단되었습니다. 이송된 대학병원에서의 진찰 결과 두개골 골절과 지연성 출혈이 보이나 시간이 지체되어 수술은 힘들다고 합니다. 현재 환자는 의식불명 상태에 있습니다. … Read more

[의료사고] 건강보험 틀니 재제작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건강보험 건강보험 적용으로 틀니를 제작하였지만 사용이 불편하여 다시 제작하고 싶습니다. 어머니가 건강보험 혜택으로 틀니를 제작하여 착용하였지만 불편감으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치과에서는 적응기간이 지나면 괜찮을 것이라 하였으나 불편감은 계속되고 통증과 출혈까지 발생하였습니다. 틀니를 반납하고 환불을 요청하여 본인부담금은 환불 받았으나 건강보험공단에 청구한 보험비용은 취소를 해주지 않아 다른 치과에서 틀니를 제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결을 하면 좋을지 상담을 요청 … Read more

[의료사고] 처방오류로 추가비용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건강보험 의사의 잘못으로 비보험 약제가 처방되었는데, 심평원에서는 요양급여 대상이 아니므로 환자가 전부 부담하라고 합니다. 아버지께서 C형간염 1b형 진단을 받고 A의료원 교수에게 소발디정을 처방받았습니다. 그 소견서로 집근처 내과에서 계속 처방을 받아 복용하고 약 3개월이 지난 시점, 심평원에서 요양급여처리가 불가하며 약제비 전액은 환자 부담으로 통보를 해왔습니다. C형간염 1b형은 레디파스비르와 하보니정을 처방해야 보험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비보험 약제로 처방한 의사의 … Read more

[의료사고] 의료기사 권한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의료기사 의사가 아닌 의료기사가 의료기기 조작 권한이 있나요? 저는 요로결석 제거를 위해 비뇨기과에 내원하였습니다. 의사와 방사선기사가 들어와 체외충격파쇄석기 시술을 준비했고 시술이 시작되자 의사가 먼저 쇄석실을 나갔고 이후 방사선사도 자리를 비웠습니다. 시술 과정에서극심한 통증이 있었지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은 없었습니다.1주일 후 경과 확인 차 재내원 하였는데 결석이 잔존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방사선사가 의료기기를 조작하였기 때문에 시술이 성공하지 … Read more

[의료사고] 턱수술 신경손상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사각 턱 축소술 사각 턱 수술 후 부정교합 및 하악 신경 손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어머니(50대/여)께서 사각 턱 수술을 받으셨는데 이후 윗턱의 뼈가 흔들리고 음식물을 씹을 수 없을 정도로 턱관절의 통증과 부정교합이 발생하였습니다. 병원에서는 과실은 인정하지만, 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므로 보험회사와 협의하라고만 합니다. 이상 증상에 대해 상급병원에서는 아래턱의 아랫입술 감각 상실로 인한 영구장애 판정을 받았습니다. 단순한 외모 개선을 … Read more

[의료사고] 의식불명 기준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중재원 ‘1개월 이상의 의식불명’에 대한 의학적 범위와 판단의 기준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의료분쟁조정법에는 사망 또는 1개월 이상의 의식불명, 심한장애의 경우에는 조정절차가 자동으로 개시된다는 내용에 대해 “1개월 이상의 의식불명”의 의학적 범위와 “1개월 이상”이라는 기준에 대한 의식수준의 변화에 대해서는 어떻게 판단되는지 궁금합니다. 신경학적 의식 수준 5단계 중 혼수, 반혼수 상태를 의미합니다 「의료분쟁조정법」 제27조제9항제1호에 의거 ‘의식불명’은 혼수(coma) 또는 반혼수(semi-coma)이며 … Read more

[의료사고] 약물부작용 과거력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약물 약물 부작용 과거력을 고지하였지만 동일 약물을 사용하여 부작용이 발생하였습니다 저(40대/여)는 교통사고 후 어지럼증과 통증이 심해 응급실에 내원하였습니다. 과거 디클로페낙 투여 후 호흡곤란 경험이 있어 담당 의사와 간호사에게 여러 차례 고지하였으나, 디클로페낙 성분의 약제가 투여되었으며 똑같은 호흡곤란 증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응급실 담당 간호사의 실수라고 병원측과 관련 의료진들이 사과하였으나 저는 약물 부작용으로 생명의 위협을 느꼈으며, 병원측에 정신적, … Read more

[의료사고] 조정신청과 사고인정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조정신청 조정신청 후 병원이 불참하여 각하되었는데 의료사고로 인정하는 것이 아닌가요? 조정신청서에 있는 사실대로 작성하였는데 병원이 조정참여를 거부하여 각하되었습니다. 떳떳하면 조정에 참여할 텐데 불참하는 것은 의료사고를 인정하는 의미가 아닌가요? 조정의 참여 또는 거부가 과실을 인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의료분쟁조정은 분쟁해결을 위하여 환자나 병원 중 한쪽의 신청이 있는 경우 제3자인 우리 원이 개입하여 화해하도록 합의를 이끄는 절차입니다. 따라서 … Read more

[의료사고] 종양 파열 오진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위장염 종양 파열을 위장염으로 진단하였습니다 종양 파열을 위장염으로 진단하였습니다.최근 아내(30대)가 복통으로 새벽에 응급실에 내원하여 진료결과 위장염으로 진단 후 진통제와 수액을 처방받고 귀가하였습니다. 그날 오후 똑같은 증상이 나타나 재방문하였으나 처방 또한 같았습니다.다음날 아침, 아내는 사망한 상태로 발견되었으며 부검결과 사망 원인은 이자의 고형가유두상종양 파열에 의한 과다출혈이었습니다. 응급실에 내원 당시에 조금만 더 정밀하게 관찰하였다면 수술을 시도해 볼 수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