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진단서] 여러 개의 진단명 기재

실제 사망진단서에서 발견되는 주요 오류 사례들

한 칸에 여러 개의 진단명을 적은 경우 사망의 원인은 하나의 칸에 한 가지 진단만 적는다. (나)항에서 여러 손상을 나열하였는데, 이보다는 ‘다발성 손상’ 또는 ‘다발성 골절’이라고 하거나 가장 중요하고 치명적인 손상 하나만 적는다. ‘패혈증’이 ‘흡인성 폐렴’의 합병증이라고 생각한다면 ‘패혈증’은 생략하거나, 두 칸으로 나누어 위에는 ‘패혈증’, 아래에는 ‘흡인성 폐렴’이라고 적는다. 수술을 하였다면 그 주요소견도 기술한다.

[사망진단서] 경합 사인 병렬적 기록

실제 사망진단서에서 발견되는 주요 오류 사례들

서로 경합하는 사인들을 병렬적으로 기록한 경우 한 개의 칸에는 하나의 진단명만 기입해야 한다. 심폐정지는 사망의 기전이므로 사인으로 적합하지 않다. ‘자궁근무력증, 양수폐색전증, 뇌병변’ 등은 인과관계로 연결되기 보다는 서로 경쟁하는 원인들이므로, 의학적으로 가장 치명적이었다고 추정되는 것을 골라 직접사인에 적는다. ‘뇌병변’은 구체적인 진단명으로 바꾸어야 한다. ‘상세불명의 전신경련’ 은 진단명이 아닌 증상이므로 사인으로 보기 어렵다.

[사망진단서] 사인 간 인과관계 부적절

실제 사망진단서에서 발견되는 주요 오류 사례들

직접사인과 선행사인 간의 인과관계가 부적절한 경우 ‘폐부종’은 원칙적으로 사망원인에 적합한 진단명은 아니다. 이를 전제하고 사용한다고 하여도 ‘폐부종’과 ‘기존의 심장 판막 기능 부전 악화’, ‘급성 충수염’ 사이의 인과관계가 명확히 이해되지 않는다. 급성 충수염이 기존의 심장 판막 기능 부전을 악화시켜 사망한 것으로 판단하였다면 직접사인은 ‘심부전’, 그 원인은 ‘급성 충수염’으로 기재하고, 그 아래 칸에 기존의 심장 판막 질환을 … Read more

[사망진단서] 시간 간격 누락

실제 사망진단서에서 발견되는 주요 오류 사례들

시간 간격을 기록하지 않은 경우 사망한 경과를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하나의 칸에는 중요한 진단명 하나만 적는다. 즉 직접사인에는 패혈증, 선행사인에는 외상성 경막하 출혈을 적고, 패혈증의 경우 원인균이나 감염 부위를 알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좋다. 발병부터 사망까지의 기간은 대부분의 사망진단서에서 누락되어 있는데, 이는 사망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더욱 도움이 되므로 대략적이라도 기록한다. 발병부터 사망까지의 기간이 … Read more

[사망진단서] 빈 칸이나 중복되는 진단명

실제 사망진단서에서 발견되는 주요 오류 사례들

중간에 빈 칸을 두거나 중복되는 진단명을 기입한 경우 사망원인은 위 칸부터 채우고, 중간에는 빈칸을 두지 않는다. ‘우심실부전’은 사망의 기전이므로 생략하는 것도 좋겠다. 발병부터 사망까지의 기간도 기입한다. 한편 ‘폐색전증’은 선행원인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할 수 있겠다. ‘심폐정지’나 ‘장기손상 및 실혈’은 진단명이 아니므로 기재할 필요가 없고, ‘흉부자창’만 기록하면 충분하다. 자창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면 더욱 … Read more

[사망진단서] 부적절한 진단명

실제 사망진단서에서 발견되는 주요 오류 사례들

부적절한 진단명을 사용한 경우 ‘상세불명의 노환’은 사망의 원인으로 적절하지 않다. 병력이나 최근의 생활을 자세히 알아보면 중요한 감별질환을 알 수 있는 경우가 많다. 특별한 외상이나 과거력 없이 갑작스럽게 사망하였고 다른 증상이 없었다면 내인성 급사의 가장 흔한 원인인 급성 심근경색증을 사망 원인으로 추정해 볼 수 있지만, 만약 사인을 섣불리 추정하기 어렵거나 부자연스러운 외상 등 확인해야 하는 정황이 … Read more

[사망진단서] 외인사 추가사항 누락

실제 사망진단서에서 발견되는 주요 오류 사례들

외인사의 추가 사항을 기록하지 않은 경우 ‘심폐 부전’은 사망 원인으로 기재하지 않는다. 직접사인에는 ‘두부손상’, 그 원인은 ‘추락’으로 기재하고, 외인사의 세부사항, 즉 의도성 여부, 사고발생 장소 및 상황을 기입한다. 교통사고로 발생한 흉부손상을 주소로 응급실로 내원한 사례였는데, 위 사망진단서에는 손상의 원인이 기록되지 않았다. 손상의 원인이 교통사고라고 파악되었다면 이를 기재하고, 필요하다면 참고한 진술의 내용과 진술자에 대한 정보를 의무기록에 … Read more

[사망진단서] 약자 풀이 없이 사용, 오자

실제 사망진단서에서 발견되는 주요 오류 사례들

약자를 풀이 없이 사용하였거나 오자가 있는 경우 사망의 원인으로 기록하는 진단명은 약자를 사용하지 않고, 되도록 한글로 적는다. 따라서 직접사인은 ‘급성호흡곤란증후군’, 그 선행원인은 ‘폐렴’으로 적으면 된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을 폐렴이 진행되어 나타난 합병증으로 생각한다면 이를 생략하고 직접사인에 ‘폐렴’만 기록해도 된다.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은 사망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사망진단서에 적지 않는다.

[사망진단서] 원인과 종류가 배치되는 경우

실제 사망진단서에서 발견되는 주요 오류 사례들

사망의 원인과 종류가 배치되는 경우 만약 ‘급성 심근경색증’이 ‘두개골 골절’과 ‘외상성 뇌 실질내 출혈’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하였다면 사망의 종류는 ‘외인사’라고 기록하는 것이 원칙이다. 임상적으로 외부적인 손상이 심근경색증의 발병에 영향을 미쳤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면 사망의 종류를 ‘기타 및 불상’으로 분류하거나 다른 전문가의 의견을 구하는 것이 좋겠다. 이러한 판단에는 사망에 이르는 시간적 경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 Read more

[사망진단서] 선행사인(원사인)을 알 수 없음

실제 사망진단서에서 발견되는 주요 오류 사례들

사망 관련 현상이나 직접사인만 기록하여 선행사인(원사인)을 알 수 없는 경우 직접사인은 ‘심폐정지’로, 그 원인은 ‘미상’으로 표시되어 있다. 심폐 정지는 사망의 현상일 뿐 특정한 진단명이 아니다. 사망의 원인이 불확실한 경우 직접사인을 ‘불명’으로 표기하면 된다. 그 아래에는 ‘미상’을 두 번 표기하였는데, 이렇게 빈칸을 모두 채우려 할 필요는 없다. 심폐 정지 외에도 호흡정지, 심정지, 호흡부전, 뇌압상승, 부정맥 등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