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고] 손해배상금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민형사 의사와 병원을 처벌하고 손해배상금도 받고 싶습니다. 사례 ① 다시는 의료행위를 하지 못하게 의사를 경찰에 고발하여 조사 중에 있습니다. 의사에게서 손해배상도 받고 싶은데 조정신청 할 수 있나요? 사례 ② 조정신청을 하려고 하는데 의사면허도 취소시키고 병원도 폐업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형사적인 책임은 국가의 처벌, 민사적인 책임은 손해의 배상으로 목적과 요건, 절차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하나의 의료분쟁 … 더 읽기

[의료사고] 입원 낙상사고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안전사고 입원 중에 혼자서 움직이다 넘어져 골절되었습니다. 의료사고로 주장할 수 있나요? 사례 ① 손가락 골절로 입원 중 침대 난관을 스스로 내리고 내려오다 낙상하였습니다. 환자 안전관리 의무 소홀을 주장할 수 있나요? 사례 ② 하지위약감 증상으로 외래진료를 위해 진료실에 들어갔다가 의자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고 앉다가 뒤로 넘어져 흉추압박골절 진단으로 입원치료를 받게 되었습니다. 병원에 책임을 물을 수 있나요? … 더 읽기

[의료사고] 침시술 부작용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두통 침 시술 후 두통이 계속됩니다. 조정신청이 가능한가요? 눈꺼풀이 쳐져 한의원에서 침을 맞았는데 가슴부분의 침을 뽑지 않아 제가 손으로 뽑았습니다. 이후 머리가 계속 아파 침을 맞았으나 효과가 없습니다. 두통이 계속되어 생활을 할 수가 없는데 따로 한의사는 침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하고 두통에 대해 따로 진단받은 바는 없습니다. 이런 경우도 조정신청이 가능한가요? 의료행위에 대한 피해의 주장이므로 조정신청은 … 더 읽기

[의료사고] 척수종양제거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하반신 마비 척수종양 제거술 후 하반신이 마비되었습니다. 저는(50대/남) 허리통증 및 발목 저림 증상으로 MRI 검사 결과 척수종양으로 진단받았고 제거 수술 중 출혈로 인해 추가 수술을 하였습니다. 수술 후 하지마비 증상이 발생하여 재활 치료를 받았지만 결국 중증장애 판정을 받았습니다. 수술 과정에서 정확하게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의료사고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평생 고통 속에서 장애인으로 살아가야하는데 어떻게 대처해야 … 더 읽기

[의료사고] 항혈소판제 뇌경색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부작용 담낭 제거 수술을 위해 복용 중인 약을 중단한 후 뇌경색이 발생하였습니다. 저희 어머니(60대)는 20년 전부터 뇌경색으로 약물치료 중이셨는데 몇 달 전부터 고열이 발생하여 병원에 내원하였고 담낭 결석 진단으로 수술을 권유받았습니다. 수술 전 항혈전제 복용을 중단하라는 의사의 지시로 약을 복용하지 않았지만, 수술 후 의식 저하가 발생하여 추가적인 검사와 치료를 요청하였지만, 진정제만 투여할 뿐 별다른 조치가 … 더 읽기

[의료사고] 피임약 부작용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폐혈전색전증 경구피임약 복용 후 폐혈전색전증으로 사망하였습니다. 제 딸이(20대) 생리 전과 생리기간에 하복부 통증이 심한 편입니다. 진통제도 효과가 없어 병원에서 경구피임약(야스민)을 처방받아 복용하였습니다. 1달 정도 복용했을 때 다리가 붓고 저리며 탈모증상이 있었고, 복용 두 달째에 화장실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습니다. 국과수 부검 결과 폐혈전색전증이 사망과 관련이 있다고해서 처방받았던 약을 찾아보니 이상반응으로 혈전색전증이 나타날 수 있어 간질, 편두통, … 더 읽기

[의료사고] 가다실 부작용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예방접종 자궁경부암 예방 접종 후 뇌척수염의증을 진단받았습니다. 저는(20대/여)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을 2차까지 맞았는데 1, 2차 모두 몸살, 두통 증상이 있었습니다. 의사에게 물어보니 일시적인 부작용이라고 하여 3차 접종을 하였습니다. 이후 극심한 통증과 마비 증상으로 응급실에 갔으나 접종 부작용일 수 있다며 별다른 치료 없이 귀가하였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계속되어 여러 검사를 받았고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의증으로 진단받았습니다. 병원에 손해배상 요구를 … 더 읽기

[의료사고] 구상권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구상권 민사소송에서 패소하여 손해배상액을 환자에게 지급하였습니다. 병원은 담당의사에게 손해배상액을 지급할 것을 요구하였는데 중재신청이 가능한가요? 저는 의료기관 담당자입니다. 최근 환자(원고)가 제기한 의료소송에서 병원(피고)이 패소하였고 손해배상금은 병원이 원고에게 지급하였습니다. 판결문 내용 중 ‘수술 중 의사의 주의의무 위반’이라는 결론이 있어 병원은 수술했던 담당의사에게 손해배상액을 지급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의사는 ‘중재원에 중재신청을 하여 의견을 듣고 싶다’는 입장입니다. 이런 경우에 의사와 … 더 읽기

[의료사고] 소멸시효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일반채권 20년 전 수술로 인한 손해가 최근에 발견되었습니다. 약 18년 전 교통사고로 인한 대퇴부골절로 핀 고정술을 받고 3년 후 핀 제거술을 하였습니다. 최근 갑자기 다리가 붓고 마비증상으로 상급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는데 15년 전 수술부위에서 거즈가 발견되었습니다. 의사는 잔존거즈로 인해 근육이 괴사되어 마비증상이 발생한 것 같다는 소견입니다. 수술병원의 원장은 수술한 적도 없고 의학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며 법적으로 … 더 읽기

[의료사고] 전립선암 완치판정하였으나 전이

의료사고, 의료분쟁 상담 사례

전립선암 기회상실 전립선암 완치판정 후 암이 전이되어 사망하였습니다 장인이 전립선암 초기로 진단을 받아 5년간의 치료를 통해 완치판정을 받았으며, 완치판정 후에도 주치의의 지시에 따라 관리를 잘 해왔습니다. 그러던 중 다리에 통증이 심해 MRI 등 영상진단과 피검사 등을 받았으나 주치의는 큰 문제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통증이 너무 심해 가족들은 암의 전이 여부를 재차 문의하였지만 주치의는 이상없다고만 하다가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