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산업통계용어 의료서비스편입니다.
특히 병원관련 종사나 업계 근무하는 분들은 필수로 알아야겠습니다.
정밀검사
물리적·화학적 또는 미생물학적 방법에 따라 실시하는 검사로서 서류검사 및 관능검사를 포함한다.
주요 진료시설 이용실적 (Utilization of Major Facilities)
산출식: (연간이용환자(건)수÷주요진료시설병상(실)수×365)×100
지급건수 [급여건수](Treatment cases)
요양기관에서 공단에 청구한 진료비 청구명세서 중 심사평가원에서 심사결정한 후 보험자가 지급하는 건수를 말한다.
지역 가입자 세대당보험료
산출식: 국고부담보험료와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를 합하여 세대당 평균보험료를 산출한다.
지역가입자 보험료
지역가입자 보험료는 소득, 재산, 생활수준, 직업, 경제활동참가율 등을 참작하여 정한 부과표준소득의 등급별 적용점수당 금액을 곱하여 산정한 보험료를 부과함
- 소득점수는『소득등급별 점수(70등급)』와『생활수준 및 경제활동참가율등급별 점수(30등급)』로 구분
- 재산점수는 『재산등급별 점수(50등급)』 와 『자동차등급별 점수(7등급)』로 구분
- 산출식:
1) 등급별 부과표준소득(점수) : 소득점수 + 재산점수
2) 등급별 보험료(100등급) : 등급별 적용점수 × 적용점수당 금액(원)
직장 가입자(피보험자) 1인당보험료
- 산출식: 직장 가입자(피보험자) 1인당 평균보험료 = 직장가입자 연간보험료 ÷ 직장가입자(피보험자) 연평균인구
직장가입자의 보험료 및 표준보수월액
보험료를 산정함에 있어서 보수월액을 그대로 쓰는 것이 아니라 보수월액의 일정범위마다 여러 등급을 매기고 각 등급마다 표준이 되는 금액을 정하여 이를 보험료율과 곱하여 산정하고, 그 보수월액의 표준이 되는 금액을 표준보수월액이라 한다.
직종별 1인당 월평균 환자진료실적(Monthly Outpatient Visits and Inpatient Days per Capita by Occupational Category)
산출식:
1) 직종별 1인당 월평균 외래환자진료실적(명)=(외래환자연인원수÷월수)÷직종별 인원수
2) 직종별 1인당 월평균 입원환자진료실적(명)=(총재원일수÷월수)÷직종별 인원수
3) 직종별 1인당 월평균 조정환자진료실적(명)={(조정환자수÷월수)÷직종별 인원수}
4) 직종별 인원수는 기간중 평균재직인원수로서 직종별연인원수÷일수로 산출함.
진료과별 의사직(전문의+일반의+레지던트) 1인당 월평균 환자진료실적 (Monthly Outpatient Visits and Inpatient Days per Physician(Specialist+General Practotioner +Resident) by Department
산출식:
1) 진료과별 의사 1인당 월평균 외래환자수(명)=(진료과별외래환자연인원수÷월수)÷{진료과별 의사수(전문의+일반의+레지던트)}
2) 진료과별 의사 1인당 월평균 입원환자수(명)=(진료과별 총재원일수÷월수)÷{진료과별 의사수(전문의+일반의+레지던트)}
진료과별 입원환자 평균 재원일수
산출식:(퇴원환자재원일수누계÷연실퇴원환자수) 또는 총재원일수÷{(입원실인원+퇴원실인원)÷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