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인력 11편 치과기공사 알아보기

치과의사의 의뢰에 따라 구강조직의 저작기능 및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치과기공물, 충전물 등을 제작, 가공, 수리한다.

치과기공사란?

치과기공사 하는 일과 자격

○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 의거 ‘의료기사’ 범주에 속하는 6개 업종 중 하나로서 보철물의 제작, 수리 또는 가공 업무를 수행

– 치과기공물을 전산설계(CAD/CAM), 삼차원(3D)프린터 또는 주조기 등을 이용해 디자인, 제작, 수리 또는 가공하는 업무

치과기공사 현황(양성기관, 인력)

○ (양성기관) ‘21년 기준 21개 대학(3년제 17개, 4년제 4개)

○ (전체인원) ‘20년기준 33,830명으로 ’10년대비 9,620명 증가(연평균 3.4%)

○ (활동인원) ‘20년기준 20,008명으로 ’10년대비 8,048명 증가(연평균 5.3%)

○ (요양기관근무) ‘20년기준 3,972명으로 ’10년대비 824명 증가(연평균 2.4%)

연도별 면허 치과기공사 활동 유형별 인력 현황

인력 수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연평균증가율인구십만명당
전체24,21025,47626,82528,05329,17829,74430,69631,52632,27932,99033,8303.465.9
(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
활동치과기공사요양기관근무3,1483,3023,3743,3213,4303,5743,6063,7023,7143,8303,9722.47.7
(13.0)(13.0)(12.6)(11.8)(11.8)(12)(11.7)(11.7)(11.5)(11.6)(11.7)
비요양기관근무8,8129,61710,47911,24112,07412,26713,08014,02614,65015,28316,0366.231.2
(36.4)(37.7)(39.1)(40.1)(41.4)(41.2)(42.6)(44.5)(45.4)(46.3)(47.4)
비활동치과기공사12,25012,55712,97213,49113,67413,90314,01013,79813,91513,87713,8221.226.9
(50.6)(49.3)(48.4)(48.1)(46.9)(46.7)(45.6)(43.8)(43.1)(42.1)(40.9)

치과기공사 성별과 연령별 분포

○ 요양기관 근무 치과기공사 전체인력의 54.9%가 여성, 45.1% 남성(남성 1,792명, 여성 2,180명)

○ 요양기관 근무 치과기공사 평균연령은 40.7세로 ‘10년 대비 4.1세 증가

연도별 치과기공사 연령 및 성별 분포 변화 추이

구분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연평균증가율
소계1942533624585266477528489721,1841,41121.9
29세이하9111216518616918521020422627434314.2
30-39세8011116122230339946554262976586626.9
40-49세22283446445361819311816722.5
50-59세12241010162123243141
60세-69세00000000134.
70세이상00000000000.
소계8471,0081,2461,4221,6151,8422,0812,4002,6813,1913,69915.9
29세이하6186817808128629151,0131,1251,1601,3591,5499.6
30-39세1522443704996227668931,0831,3011,5421,80628.1
40-49세6370778810112412613014920524414.5
50-59세141319212631405262738519.8
60세-69세000245899121533.4
70세이상00000111000.

치과기공사의 임금(연봉)

○ 요양기관 근무 치과기공사 평균임금은 ‘20년 44,496,192원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3.6% 증가

자료 출처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