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현황
온내과의원
- 전화번호: 031-484-2636
-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1길 16, 중앙마케이트빌딩 501호, 607호, 608호 (고잔동)
고잔이비인후과의원
- 전화번호: 031-411-5075
-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광덕동로 55, 303, 304호 (고잔동, 21세기프라자)
제중의원
- 전화번호: 031-494-3898
-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라성안길 1, 204호 (원곡동, 삼우상가)
윤이비인후과의원
- 전화번호: 031-401-4172
-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예술대학로 9, 307호 (고잔동, 보배플라자)
김비뇨기과의원
- 전화번호: 031-484-1991
-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예술대학로 9, 308호 (고잔동, 보배프라자)
연세의원
- 전화번호: 031-487-9191
-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915, 516~517호 (고잔동, 월드코아빌딩)
삼성드림의원
- 전화번호: 031-403-8575
-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천동로4길 24, (와동, 진목공)
연세가정의학과의원
- 전화번호: 031-437-1110
-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1길 38, (건건동, 2층)
본오제일의원
- 전화번호: 031-415-7572
-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이로 53, 2층 (본오동)
정가정의원
- 전화번호: 031-409-8248
-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샘골로 143, 2층 (본오동, 청원빌딩)
안산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새안산상록의원
- 전화번호: 031-401-7577
-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석호로 292, 2층 (본오동)
안산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새안산의원
- 전화번호: 031-405-8333
-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예술광장로 31, 파크프라자 604~609호 (월피동)
팔곡연세의원
- 전화번호: 031-437-8781
-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정동1길 2, 1층 (팔곡일동)
안산무지개연합의원
- 전화번호: 031-405-9011
-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항가울로 410, (성포동, 롯데마트)
안성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서안성의원
- 전화번호: 031-651-6121
- 주소: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승두길 40, 40
안성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우리동네의원
- 전화번호: 031-671-9157
- 주소: 경기도 안성시 대학로 69, (당왕동)
안성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안성농민의원
- 전화번호: 031-675-0227
- 주소: 경기도 안성시 중앙로371번길 13, 2, 3층 (석정동)
- 상기자료는 2024년 8월 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특수운영기관현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리스트 다운받기
일차의료 방문진료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질병・부상 및 출산 등으로 인하여 진료를 받아야할 필요성이 있으나 보행이 곤란・불가능하여 환자・보호자의 방문진료요청이 있는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내용을 잘 확인하시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일차의료 방문진료 시범사업이란
- 거동이 불편하여 의료기관에 내원하기 어렵다고 의사가 판단한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 내 의원의 의사가 직접 방문진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원을 안내합니다.
- ※ 해당 기관은 시범사업 등록기관 기준이며, 요양기관 여건상 실제 참여여부는 다를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 가. 국민의 다양한 의료적 욕구에 대한 대응
- ○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환자가 증가하고있으나,
- 재가 환자에 대한 적정한 의료 전달체계가 없어 국민의 욕구 대응공백나. 거동 불편 환자에 대한 의료접근성 개선 필요
- ○ 의료기관 내원 위주의 서비스 제공은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사용할 수 있으나, 거동 불편 환자 등에 대한 의료접근성 문제발생
방문진료 서비스 내용
○ (진찰) 문진, 시진, 청진, 타진, 촉진 등을 실시
○ (처방) 구강섭취약, 연고, 좌약 등에 대한 처방
○ (질환관리) 만성질환, 단순한 급성・아급성 질환 등에 대한관리
○ (검사) 혈압계, 산소포화도측정기, 이경 등을 활용한 기본검사등
○ (의뢰) 필요 시 적절한 전문 의료기관으로의 의뢰
○ (교육상담) 질병 상태 및 관리계획에 대한 환자・보호자 교육실시
○ (기타) 검체 채취, 투약, 주사, 응급처치 등에 대한 교육 등※ 환자의 필요 따라 다양한 서비스 제공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