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학교병원 응급실 진료받기

충남대학교병원 응급실 진료받기

충남대병원 응급실 찾아가기

충남대병원 응급실 찾아가기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282 충남대학교병원으로 찾아가시면 응급실은 본관 앞 정문 오른쪽 응급센터를 찾아가면 되겠습니다.

충남대병원 응급실 찾아가기

응급센터 1층을 찾아가면 응급실 원무팀이 있습니다. 접수를 할 수 있겠습니다.

업무별 연락처

담당업무전화번호비고
재원관리신장내과, 혈액종양내과, 류마티스내과, 소아청소년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안과, 이비인후과, 치과, 마취통증의학과, 핵의학과, 응급의학과 (042)280-7065입원(중간)비 문의 등
호흡기내과, 내분비대사내과, 감염내과, 외과, 산부인과, 흉부외과, 피부과, 가정의학과 (042)280-7051입원(중간)비 문의 등
성형외과, 비뇨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정신건강복지법 입퇴원절차), 신경과 (042)280-8055입원(중간)비 문의 등
소화기내과, 심장내과, 재활의학과 (042)280-7066입원(중간)비 문의 등
기관후납 (042)280-7064
진료비수익 및 건강보험 (042)280-7044
의료급여 및 진료비감면 (042)280-7045
장애인전용 (042)280-7324
처음오신분 (042)280-7943
국제진료센터(외국인진료) (042)280-8429
의무기록/CD 복사 (042)280-7043, 8615
외부 CD 입력 (042)280-7324
제증명/출력물 관리(영수증 재발행 등) (042)280-7043, 7978
병실배정 (042)280-7992, 7993
입/퇴원수속 및 중간비 납부 (042)280-7054, 7946
산업재해 (042)280-7053

응급의학과 소개

국내의 급격한 인구증가와 산업화로 인하여 다양한 원인의 응급질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외상, 약물중독과 같이 치료의 시작을 빨리 할수록 환자의 예후가 결정으로 차이가 나는 많은 질환을 즉각적으로 처치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충남대학교병원이 대전 및 충청지역을 관할하는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기 위하여 오늘도 진료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진료에 임하고 있습니다.

  1. 연중무휴 교수진의 응급의료서비스가 제공됩니다.
  2. 대전 및 충청지역을 관할하는 ‘권역응급의료센터’로서의 지역중추적인 의료기관으로 책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3. 응급센터내에 혈액검사실, 최신형 이동식초음파, 컴퓨터단층촬영장치,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 심폐소생실, 처치실등 전용공간을 마련하여 초기진단과 처치가 빠른 시간에 이루어집니다.

응급실 진료 안내

진료시간

응급실은 24시간 접수하고 진료합니다.

대표전화 1599-7123, 말로거는전화 1636 누르고 “충남대학교병원”이라고 말하면 자동연결됩니다.

응급진료순서

접수
진료접수
접수창구에 국민건강보험증을 제출하고 진료신청서(입원약정서)를 작성합니다.

진료
진료
간호사에게 진료접수증과 진료카드를 제출하시면 담당의가 응급진료를 한 후 퇴실 및 입원을 결정합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응급처치를 실시하면서 진찰 및 검사, 처치를 동시에 행하고, 필요시 전문 해당과에 협진을 의뢰합니다. 응급실에서는 항상 방문하신 순서대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의 우선순위가 정해집니다.

퇴실/수납 또는 입원
퇴실
퇴실 및 다음 진료예약 결정을 받으신 분은 수납 창구에서 진료비를 수납하시면 됩니다.(다음 진료예약은 전화예약 이용)

입원
입원 결정을 받으신 분은 담당의사로부터 입원결정서를 발급받아 수납창구에서 수속을 마친 후 입원하십시오.

귀가 (정보공개 동의환자)
귀가
원내 약처방이 있는 경우 진료비 계산서를 본관 B1 약국에 제출하신 뒤 약을 수령하시고 다음 진료사항과 주의사항에 대하여 상담하신 후 귀가하십시오.​

문의번호 : (042)280-8129

충남대병원의 응급병동

응급병동이 꼭 필요한 이유
응급실을 찾은 환자가 계속해서 응급실에 머문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일단 다른 응급환자의 수용이 어려워진다. 응급의료기관 평가에서 환자의 ‘응급실 재실시간’과 ‘응급실 과밀화지수’(내원환자의 재실시간 총 합계 / (병상수×365일×24시간))를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두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응급실 과밀화지수가 100%를 넘는 병원은 응급실 병상이 부족해 내원환자가 불가피하게 간이침대나 의자, 바닥 등에서 대기해야만 한다. 또한 중증응급환자가 수술실·병실 등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응급실에 오래 머물면 적시에 필요한 치료를 받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내원환자들이 의료진의 신속한 판단 아래 응급전용 병동으로 옮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급실 환자만 입원하는 병동
앞서 살펴봤듯이 응급병동은 응급실을 경유한 환자 전용으로 운영되는 병동으로 응급의학과 교수에 의해 입원이 결정된다. 불가피하게 외래환자의 입원이 필요한 경우 응급의학과 교수의 판단에 따라 입원이 가능하다. 하지만 응급실 경유 환자의 이용률 100%를 목표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 중 ‘응급전용 입원실의 응급실 경유환자 이용률’ 항목에서 전국순위 1위의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응급실 환자가 아니라면 전동 유도
응급병동에 입원했다고 해서 계속해서 머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응급실의 추가적인 입원 수요를 충족해야하는 건 물론, 환자의 질환에 따라 해당 진료과 병동으로 옮겨 보다 효율적인 진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진료과가 응급의학과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전동을 유도한다. 만일 해당 병동에 공실이 없거나 환자의 동의가 없을 때는 응급전용 병동에서의 입원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병동 관리는 응급의학과에서, 진료는 각 진료과에서
외래 입원환자와 달리 응급병동에는 다양한 진료과와 중증도가 서로 다른 환자가 입원하게 된다. 따라서 각 환자 별 맞춤 진료가 이뤄져야 하는데, 응급병동으로 옮겨지는 순간부터 해당 진료과 의료진이 진료를 시행하며 전반적인 병동관리는 응급의학과 교수의 지도 아래 이뤄진다. 즉 2중의 안전장치가 마련돼 있는 셈이다. 다양한 중증도의 환자가 혼재되어 있는 만큼 응급상황에 대한 적절한 처치 및 간호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다양한 질환에 대한 간호와 전문적인 심폐소생술 및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도 시행하고 있다.

위중한 환자는 더 세심하게 관리
응급전용 병동에는 세심한 관찰이 필요한 환자를 위해 간호사실 전면에 병동중환자실 개념의 2개의 병상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파악하고 상태변화에 따른 즉각적인 처치 및 간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