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두종 바이러스 예방접종
이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62-8636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로 107, 2층
세가온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55-9393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율곡로 2982-6, 1층 (교동)
세가온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3-7114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율곡로 2982-6, (교동)
아이앤맘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8-8114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가로 21, 4,5층 (옥천동)
아이앤맘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5-7512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가로 21, 3,7층 (옥천동)
초당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70-7372-8275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당길 76, 2층 (초당동)
온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823-3120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솔올로5번길 55, 4층 401호 (교동)
우주 가정의학과 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55-9887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솔올로5번길 40-4, 2층 (교동)
이명호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5-7747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솔올로5번길 40, 2층 (교동)
- 홈페이지: www.leemhmed.co.kr
한기철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1-6714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솔올로 25, 3층 (교동, 현진빌딩)
박유인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1-2391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솔올로 25, 2층 (교동)
행복한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52-4650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덕포남로182번길 46, (포남동)
파란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5-3165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선수촌로 64-3, 유천이스턴빌딩 2층 202호 (홍제동)
강릉아산병원
- 구분: 상급종합
- 전화번호: 033-610-3114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사천면 방동길 38, (사천면)
- 홈페이지: www.gnah.co.kr
난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6-2730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범일로 604, 2층 (내곡동, 하나로마트)
연세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1-9508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금성로22번길 8, (금학동)
푸른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8-9878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금성로22번길 10, (금학동)
조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4-8256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교동광장로 105, (교동)
동서연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1-3001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110, 동아빌딩 6층 (임당동)
행복누리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1-6680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109, 5층 (임당동)
도담도담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8-7271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109, 4층 (임당동, 문선빌딩)
상쾌한이비인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1-8904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108, 2층 (임당동)
여정언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48-4906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082, (임당동)
강원특별자치도강릉의료원
- 구분: 종합병원
- 전화번호: 033-610-1200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007, 강원특별자치도강릉의료원 (남문동)
- 홈페이지: www.gnmc.or.kr
의료법인 강릉동인병원
- 구분: 종합병원
- 전화번호: 033-650-6161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릉대로419번길 42-0, (포남동)
- 홈페이지: www.dong-in.or.kr
하나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33-651-6008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릉대로 385, (포남동)
- 상기자료는 2024년 8월 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특수운영기관현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리스트 다운받기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예방접종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입니다.
의료기관에 따라 접종 가능한 백신 종류가 다를 수 있으므로, 보호자는 방문 전에 지정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한 백신종류를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유두종 바이러스(이하 HPV)감염증이란?
- HPV 감염증 예방접종으로 HPV감염이 주 원인인 자궁경부암, 항문생식기암, 두경부암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90%, 항문생식기암·구인두암 70%가 HPV감염으로 발생 HPV백신의 최대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HPV감염의 가장 큰 원인인 성경험 이전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체적, 정서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인생의 전환기인 12세 사춘기 여성 청소년에게는 전문의 건강상담과 HPV 예방접종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여 건강한 여성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원대상
- 12~17세 여성 청소년
- 18~26세 여성(소득기준에 따라 지원)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기준중위소득50%이하)
지원백신
- 가다실(HPV4), 서바릭스(HPV2)
사업내용
구분 | HPV 예방접종 사업 |
---|---|
지원대상 | 12 ~ 17세 여성청소년(2006. 1. 1. ~ 2012. 12. 31. 출생자, 2024년 기준)18 ~ 26세 저소득층* 여성(1997. 1. 1. ~ 2005. 12. 31. 출생자, 2024년 기준) * 저소득층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의 차상위계층 |
지원내용 | HPV 예방접종 및 건강상담(건강상담은 ‘11~’12년 출생자만 가능) |
지원횟수 | 만 15세 미만에 1차 접종을 시작한 경우6~12개월 간격 2회 접종만 15세 이후 1차 접종을 시작한 경우 총 3회 접종HPV 4가(0, 2, 6개월 간격)HPV 2가(0, 1, 6개월 간격) |
지원백신 | 가다실(HPV4), 서바릭스(HPV2) |
주의사항

알아두면 좋은 상식
왜 12살 여자 청소년 에게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을 권장하는 건가요?
– 성 접촉이 발생하기 전 2회 접종이 자궁 경부암 예방에 최적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또한 성인 연령에서 보다 어린 청소년에서 예방 접종을 하였을 경우 얻는 면역력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 보면 일본에서 심각한 부작용이 있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 일본 후생노동성은 2013년 자국에서 발생한 복합 부위 통증 등의 이상 사례에 대해 접종 대상자의 심리적 불안과 긴장에 의한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습니다(2014.2월, 7월)
– 일본 이외에 자궁 경부암 백신을 도입한 미국, 캐나다, 호주 등 국가에서는 현재까지 특별한 안전성 문제 없이 국가 예방 접종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에서도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을 권장하고 있나요?
–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자궁 경부암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을 인정하여 국가 예방 접종 사업 도입을 권고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OECD 34개국 중 29개국이 자궁 경부암 백신을 국가 예방 접종사업에 도입했습니다.
유독 자궁 경부암 백신만 이상 반응 우려가 많은거죠?
– 부작용 관련 언론보도들이 이슈가 되기는 했지만, 자궁 경부암 백신 이상 반응은 다른 어린이 접종 백신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예방 접종 전후 주의사항을 잘 지키고 접종을 받으면 안전에 문제가 없습니다.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이상 반응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 후 발생하는 이상 반응은 타 백신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자궁 경부암 백신 이상 반응으로는 접종 부위 통증, 부종, 발적, 두드러기 같은 국소 증상과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 등 전신 이상 반응이 있으며 이런 증상은 2~3일 내 특별한 치료없이 회복됩니다. 일부 청소년은 접종 부위 통증이나 심한 긴장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정신을 잃고 넘어질 수 있지만 이는 다른 예방 접종 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고 충분히 예방 가능합니다. 이를 예방 하기 위해서 예방 접종 후 20~30분간 의료 기관에서 앉아있거나 누워있어야 합니다.
이상 반응에 대해 국가에서 마련하고 있는 대응책이 있나요?
– 질병관리본부는 이상 반응 신고체계를 통해 예방 접종 이상 반응 발생을 감시하고 중증 이상 반응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예방 접종 후 발생한 피해에 대해 예방 접종 피해 국가 보상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피 접종자 또는 보호자 중 백신 이상 반응이 의심 되면 의료 기관에서 진료를 받으시고, 보건소 또는 예방 접종 도우미 홈페이지를 통해 적극적으로 신고 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