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두종 바이러스 예방접종
다나은가정의학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82-7772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흑석로 42, 2~3층 (서서학동)
그레이프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7-7887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천중앙로 57, 모악빌딩 204~205호 (효자동2가)
조수영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1-7245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천중앙로 51, 4층 402호 (효자동2가)
황선미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6-0007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천중앙로 22, A동 1층 105호 일부&106호 전체호 (효자동2가)
이상권가정의학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4-7542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천변2길 14, 상산타운 2층 201호 (효자동1가)
아이리체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55-7595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66, 1층 (중화산동2가)
새란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7-0135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홍산로 250, 601,602호 (효자동3가)
- 홈페이지: http://www.saeran.co.kr
하늘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72-0005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홍산1길 21, 105동 2층 202,203호 (효자동2가, 서희스타힐스)
이홍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903-7500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호암로 59, 5층 (효자동2가)
키즈톡스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7-2356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호암로 59, 2층 (효자동2가)
의료법인영경의료재단전주병원
- 구분: 종합병원
- 전화번호: 063-220-7200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한두평3길 13, (중화산동2가, 전주병원)
- 홈페이지: www.jjhospital.co.kr/
한결가정의학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55-7555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태평3길 43, 2~3층 (태평동)
김혜영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84-7582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장승배기로 262, 208호 (평화동1가, 주공상가층)
푸른산부인과여성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47-2114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유연로 158, 3층 (효자동3가)
위사랑연합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83-6300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유연로 158, 2층 및 3층 일부호 (효자동3가)
전주다솔아동병원
- 구분: 병원
- 전화번호: 063-280-0800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우전로 250, (효자동2가)
차경연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4-8895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용머리로 62, (효자동1가)
플러스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1-0073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용머리로 31, 2층 (효자동1가)
미소이비인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4-0130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용머리로 156, 2층 (효자동1가)
삼천편안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717-9988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용리로 54, 4층 (삼천동1가)
다나이비인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6-4300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용리로 127, 삼천삼익아파트 상가동 1층 일부호 (삼천동1가)
더맑은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902-0875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온고을로 28, 301,401호 (서신동)
미르피아여성병원
- 구분: 병원
- 전화번호: 063-211-1004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343, (효자동2가)
- 홈페이지: http://www.mir-pia.com
미르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9-0114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324, 3층 (효자동2가)
서울아산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36-7677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319, 4층 (효자동2가)
피노키오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9-7575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소대배기로 28, (평화동2가)
가온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 세나여성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9-8245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소대배기로 14, (평화동2가)
연세가정의학과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32-3535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서학로 37, 3층 (동서학동)
재단법인예수병원유지재단예수병원
- 구분: 종합병원
- 전화번호: 063-230-8114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365, (중화산동1가, 예수병원)
- 홈페이지: http://www.jesushospital.com
정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74-7582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서신로 111, (서신동)
- 홈페이지: http://www.jhungped.co.kr/
소리이비인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77-0904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서신로 105, 2층 (서신동)
다사랑병원
- 구분: 병원
- 전화번호: 063-228-5540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백제대로 74, (삼천동1가)
- 홈페이지: jdasarang1.drline.net/
온누리연합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36-9600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백제대로 54, (삼천동1가)
연세조은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4-7588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문학대4길 28, 1층 (효자동3가)
참조은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3-0027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모악로 4760, (평화동1가)
청춘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3-7588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모악로 4750, 2층 (평화동1가)
송민주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4-1234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모악로 4665, 4층 (평화동2가)
밝은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52-1260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당산로 54, 5층 (서신동)
서신위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54-5678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당산로 48, 소망빌딩 2층 (서신동)
늘푸른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75-7582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당산로 27, (서신동)
은혜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8-7576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거마평로 57, (삼천동1가)
봄빛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8-5055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거마평로 22, 2층 (삼천동1가)
장대영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22-7177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강변로 106, 201호 (삼천동1가, 삼천하이츠상가)
이승연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63-252-2882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감나무4길 4, 3층 (서신동)
- 상기자료는 2024년 8월 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특수운영기관현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리스트 다운받기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예방접종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입니다.
의료기관에 따라 접종 가능한 백신 종류가 다를 수 있으므로, 보호자는 방문 전에 지정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한 백신종류를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유두종 바이러스(이하 HPV)감염증이란?
- HPV 감염증 예방접종으로 HPV감염이 주 원인인 자궁경부암, 항문생식기암, 두경부암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90%, 항문생식기암·구인두암 70%가 HPV감염으로 발생 HPV백신의 최대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HPV감염의 가장 큰 원인인 성경험 이전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체적, 정서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인생의 전환기인 12세 사춘기 여성 청소년에게는 전문의 건강상담과 HPV 예방접종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여 건강한 여성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원대상
- 12~17세 여성 청소년
- 18~26세 여성(소득기준에 따라 지원)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기준중위소득50%이하)
지원백신
- 가다실(HPV4), 서바릭스(HPV2)
사업내용
구분 | HPV 예방접종 사업 |
---|---|
지원대상 | 12 ~ 17세 여성청소년(2006. 1. 1. ~ 2012. 12. 31. 출생자, 2024년 기준)18 ~ 26세 저소득층* 여성(1997. 1. 1. ~ 2005. 12. 31. 출생자, 2024년 기준) * 저소득층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의 차상위계층 |
지원내용 | HPV 예방접종 및 건강상담(건강상담은 ‘11~’12년 출생자만 가능) |
지원횟수 | 만 15세 미만에 1차 접종을 시작한 경우6~12개월 간격 2회 접종만 15세 이후 1차 접종을 시작한 경우 총 3회 접종HPV 4가(0, 2, 6개월 간격)HPV 2가(0, 1, 6개월 간격) |
지원백신 | 가다실(HPV4), 서바릭스(HPV2) |
주의사항

알아두면 좋은 상식
왜 12살 여자 청소년 에게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을 권장하는 건가요?
– 성 접촉이 발생하기 전 2회 접종이 자궁 경부암 예방에 최적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또한 성인 연령에서 보다 어린 청소년에서 예방 접종을 하였을 경우 얻는 면역력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 보면 일본에서 심각한 부작용이 있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 일본 후생노동성은 2013년 자국에서 발생한 복합 부위 통증 등의 이상 사례에 대해 접종 대상자의 심리적 불안과 긴장에 의한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습니다(2014.2월, 7월)
– 일본 이외에 자궁 경부암 백신을 도입한 미국, 캐나다, 호주 등 국가에서는 현재까지 특별한 안전성 문제 없이 국가 예방 접종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에서도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을 권장하고 있나요?
–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자궁 경부암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을 인정하여 국가 예방 접종 사업 도입을 권고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OECD 34개국 중 29개국이 자궁 경부암 백신을 국가 예방 접종사업에 도입했습니다.
유독 자궁 경부암 백신만 이상 반응 우려가 많은거죠?
– 부작용 관련 언론보도들이 이슈가 되기는 했지만, 자궁 경부암 백신 이상 반응은 다른 어린이 접종 백신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예방 접종 전후 주의사항을 잘 지키고 접종을 받으면 안전에 문제가 없습니다.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이상 반응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 후 발생하는 이상 반응은 타 백신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자궁 경부암 백신 이상 반응으로는 접종 부위 통증, 부종, 발적, 두드러기 같은 국소 증상과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 등 전신 이상 반응이 있으며 이런 증상은 2~3일 내 특별한 치료없이 회복됩니다. 일부 청소년은 접종 부위 통증이나 심한 긴장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정신을 잃고 넘어질 수 있지만 이는 다른 예방 접종 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고 충분히 예방 가능합니다. 이를 예방 하기 위해서 예방 접종 후 20~30분간 의료 기관에서 앉아있거나 누워있어야 합니다.
이상 반응에 대해 국가에서 마련하고 있는 대응책이 있나요?
– 질병관리본부는 이상 반응 신고체계를 통해 예방 접종 이상 반응 발생을 감시하고 중증 이상 반응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예방 접종 후 발생한 피해에 대해 예방 접종 피해 국가 보상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피 접종자 또는 보호자 중 백신 이상 반응이 의심 되면 의료 기관에서 진료를 받으시고, 보건소 또는 예방 접종 도우미 홈페이지를 통해 적극적으로 신고 해주시길 바랍니다.